美알래스카 가스사업 합작투자 관련
“하루 이틀 내 한미 화상회의 열 것”
국회에 제출 예정인 추경안 통과 호소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14일 경제안보전략태스크포스(TF) 회의 등을 주재하고 미국의 관세 부과에 대한 정부 차원의 협상을 본격 진행하겠다고 선언했다.
한 권한대행은 회의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리의 협상 방향에 대한 설명에 매우 만족해 하며 한국·일본·인도 3개국과는 ‘즉각 협상을 진행하라’고 지시한 것 같다”며 “조선·액화천연가스(LNG)·무역 균형 3대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한 권한대행은 이날 서울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주재한 회의에서 이렇게 말하며 “우선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중심으로 협상단을 구성하고 빠른 시일 내에 협의를 추진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날은 지난 8~9일(현지시간) 방미한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이 현지서 진행한 실무 협상 내용을 보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적자 규모가 큰 나라 및 동맹국을 우선으로 협상을 진행하라는 방침을 실무진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우리 정부에서도 미국 측으로부터 신속히 통상 협상을 타결하자는 신호를 받은 것으로 보인다.
한 권한대행은 또 트럼프 대통령의 주요 관심사안인 64조원 규모의 미 알래스카 가스전 합작투자 및 LNG 구매에 대해 “하루 이틀 사이에 한미 간 화상회의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8일 전화통화 후 25% 상호관세 적용을 90일 간 미루고, 스마트폰과 컴퓨터도 상호관세 대상에서 일시적으로 뺀 데 대해 한 권한대행은 “한국이 미국과 앞으로 서로 윈윈하는 협상을 진행하겠다는 우리의 의지에 트럼프 대통령도 동의를 한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한 권한대행은 “필요한 경우에는 트럼프 대통령과 직접 소통을 통해서 해결점을 만들어 나가도록 노력하겠다”며 추가 전화통화도 시사했다.
한 권한대행은 이날 오전에 열린 국무회의에서도 “이제 미국 정부와 본격적인 협상의 시간에 돌입했다” 며 “정부와 민간의 대응 역량을 총결집해 국익을 지켜 나가는데 사력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회를 향해선 “재난·재해 대응과 통상·AI 경쟁력 강화, 민생 지원 등을 위한 ‘필수 추경안’도 조만간 국회에 제출될 예정”이라며 “어떠한 정치적 고려도 없이, 오직 민생과 국가 경제만 생각하며 추경안이 전향적으로 논의되고 신속히 처리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협력을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