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 고작 14개밖에 없다…쿠팡·우아한형제들 같은 ‘유니콘’ 만드는 법은 [Book]

13 hours ago 1

문화

한국에 고작 14개밖에 없다…쿠팡·우아한형제들 같은 ‘유니콘’ 만드는 법은 [Book]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스타트업을 육성하는 것은 자본 투자, 인재 확보, 네트워킹과 지식 학습 채널이 모두 필요한 종합 예술과 같으며, 이를 위해서는 핵심 지식 기관과 대학이 필수적이다.

현재 한국의 유니콘 기업 수는 14개에 불과하며, 이를 50개 또는 100개로 늘리기 위한 해법이 필요하다는 점이 강조되고 있다.

한국의 유니콘 기업들이 소비 플랫폼에 집중된 반면, 미국의 유니콘은 인공지능과 핀테크 등 세계 경제를 선도하는 분야에 집중하고 있어, 경쟁이 치열한 만큼 성공하기 어려운 과제가 될 것이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유니콘 혁명 / 김세형·정유신·주재욱·안준모·박승재·박재민·홍찬영·김현우·김만기 지음 / 서울연구원 펴냄

서울의 한 쿠팡 캠프에 주차된 배송차량 모습.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서울의 한 쿠팡 캠프에 주차된 배송차량 모습.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스타트업을 육성하는 것은 마을이 한 명의 아이를 키우는 것과 유사하다. 자본 투자가 필요하고 인재도 필요하며 산학연 협력 같은 네트워킹과 지식 학습 채널도 필요하다. 혁신적인 스타트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엄마·아빠 역할을 할 핵심 지식 기관과 대학, 좋은 인프라 등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이 책에선 ‘종합 예술’인 스타트업 육성을 위해 서울시 관계자, 정부 부처, 대학교수 등이 함께 머리를 맞대고 국내외 연구를 통해 해법을 제시했다. 대한민국이 현재 14개에 불과한 유니콘 기업(기업가치 1조원)을 어떻게 50개, 100개로 늘려갈 것인지에 대한 답이다.

사진설명

현재 세계적으로 유니콘 기업의 보유 순위는 미국, 중국, 인도가 1~3위를 차지한다. 미국 국내총생산(GDP) 규모는 전 세계의 20% 수준이지만 유니콘은 전 세계의 50%가 넘는 656개를 보유하고 있다.

전 세계의 유니콘 1위는 오랫동안 틱톡을 운용하는 중국 바이트댄스였으나 최근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엑스 가치가 껑충 뛰어면서 순위가 바뀌었다. 3위는 혜성 같이 나타난 오픈 AI로 기업가치가 2000억달러에 육박한다.

한국의 유니콘을 대표했던 쿠팡, 우아한형제들 등은 전부 소비 관련 플랫폼일 뿐이다. 이에 비해 미국의 유니콘은 인공지능 등 신기술, 핀테크, 헬스케어와 같은 세계 경제를 선도할 분야에 집중돼 있다.

유니콘은 대한민국 미래의 희망을 거머쥔 상징이다. 국가별 경쟁이 치열하기에 그만큼 성공하기 어려울 수밖에 없다. 어렵지만 성공해야만 하는, 우리나라의 운명이 걸린 과제일 것이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