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달 시간 번 삼성…폰·메모리 불확실성 여전

3 weeks ago 13

미국이 스마트폰과 반도체를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했지만 삼성전자는 여전히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미국 상무부가 13일 상호관세에서 빠진 전자제품을 반도체 품목관세에 포함하겠다고 발표했기 때문이다. 반도체의 품목별 관세 부과까지 한 달 정도 시간을 벌었지만 미국이 정확한 반도체 품목관세율을 결정하지 않아 여전히 상황은 안갯속이다.

한 달 시간 번 삼성…폰·메모리 불확실성 여전

삼성전자 갤럭시 스마트폰은 13일까지만 해도 미국에 무관세로 수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됐다. 미국 정부 발표로 베트남을 중심으로 구축한 스마트폰 공급망을 당장 흔들 필요가 없다는 판단이었다. 삼성전자는 베트남에서 글로벌 스마트폰의 40~50%가량을 생산하는데, 미국은 지난달 베트남에서 수입하는 제품에 46% 상호관세를 매겼다. 가격 경쟁력이 추락하는 만큼 삼성이 상대적으로 관세율이 낮은 인도 브라질 한국 등으로 생산 물량을 옮길 것이라는 관측까지 나오기도 했다.

미국 정부가 지난 11일 ‘관세 가이드라인’을 통해 스마트폰을 상호관세 예외 품목으로 지정하며 한숨 돌리는 분위기였다. 이틀 만인 13일 분위기가 다시 바뀌었다. 반도체가 활용되는 첨단 전자제품에 품목관세를 부과하기로 하면서 반도체업계 셈법은 다시 복잡해졌다.

한 달여 뒤 반도체의 품목별 관세 부과 방향과 정도가 정확히 결정되는 만큼 다시 업황이 침체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상호관세 예외 품목에 들어갔던 스마트폰, PC 등에 품목관세가 매겨지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던 범용 메모리 반도체 수요 둔화 가능성이 다시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품목관세 부과→정보기술(IT) 기기 가격 상승→소비 둔화→범용 메모리 수요 감소’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발생할 수 있다. 스마트폰 라이벌인 애플도 똑같은 조치를 받게 된다는 점에서 삼성뿐만 아니라 반도체업계 전체의 고민이 늘었다는 분석이다.

황정수 기자 hjs@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