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형환 기자] 지난 28일 사망 산재 사고가 발생한 포스코이앤씨가 외부 안전 전문가 및 기관을 모아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겠다는 재발 방지 대책을 내놓았다.
![]() |
정희민 포스코이앤씨 대표이사가 29일 오후 인천 연수구 포스코이앤씨 송도사옥에서 고속국도 공사 현장 사망사고와 관련해 사과문을 발표 후 고개 숙여 인사하고 있다. (사진=뉴스1) |
포스코이앤씨 관계자는 29일 오후 인천 송도 본사 사옥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이번 사건을 계기로 회사 내부에서 문제점을 찾는 것은 한계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이번 사고를 계기로 외부 안전 전문가, 안전 기관을 총망라해 안전 TF를 꾸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개선사항 등 재발 방지 대책을 세우겠다는 것이다.
전날 오전 10시 43분쯤 경남 의령군 부림면 함양-창녕간 고속도로 10공구 현장에서 경사면 보강작업 중이던 60대 노동자 A씨가 천공기에 끼여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포스코이앤씨는 이번 사고 외에도 지난 1월 경남 김해 아파트 신축현장 추락사고, 지난 4월 경기 광명 신안산선 건설현장 붕괴 사고, 대구 주상복합 신축현장 추락사고 등 중대재해 사고로 근로자 4명이 사망했다.
이에 포스코이앤씨는 즉시 현장 작업을 중단하고 전사적 긴급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포스코이앤씨 관계자는 본사 임원들과 직책자들, 책임자들이 이번 사건을 계기로 현장에 나가 안전 점검을 실시하고 있다“며 ”직책자들이 모두 점검하고 이상이 없을 경우 작업을 진행하도록 특별히 운영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포스코이앤씨는 전날 발생한 사고로 가족을 잃은 유가족들을 위해 충분히 보상 및 지원하겠다고 주장했다. 포스코이앤씨 관계자는 ”전담부서를 통해 직접적 지원을 하려 하는데 유족들의 심려가 크고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며 ”유족의 뜻을 우선해 보상이라던지 지원을 충분히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를 통해 “포스코이앤씨라는 회사에서 올해 들어 다섯 번째 산재 사망사고가 발생했다. 이게 있을 수 일인가”라며 “아주 심하게 얘기하면 법률적 용어로 미필적고의에 의한 살인 아니냐”라고 질타했다. 그러면서 각종 제재 방안을 각 부처 장관들에게 주문했다.
이에 정희민 포스코이앤씨 대표이사 사장은 이날 오후 담화문을 내고 “올해 저희 회사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중대재해로 큰 심려를 끼쳐드린 데 이어 또 다시 인명사고가 발생한 점에 대해 참담한 심정과 무거운 책임을 통감한다”며 “다시 이런 비극이 발생하는 일이 없도록 사즉생의 각오로 회사의 명운을 걸고 안전체계의 전환을 이루어 내겠다”고 고개를 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