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서 첫 퍼포먼스 작품 선보여
음악가 이민휘-배우 배선희 협업
“폐기물은 결국 모두 돌아갈 장소”
29일 다원공간은 비닐과 전선, 샤워기 헤드, 고무호스 등 각종 산업 폐기물을 엮어서 너덜너덜하게 매단 설치 작품으로 가득했다. 이렇게 폐기물을 묶거나 뭉치게 한 뒤 모터를 달아 움직이도록 하거나, 액체가 흐르게 만들어 기괴한 생명체처럼 보이도록 하는 것은 이 작가의 작품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요소다. 테이트모던 터빈홀에서 이 작가는 공중에 발전기를 매달고 쇠사슬을 돌아가게 한 다음 이 사슬 위에 벗겨진 피부처럼 보이는 분홍색 천 조각을 달았다. 이번 전시에선 작품이 움직이지 않는 대신 노을빛 같은 노란 조명을 비추고, 메탈 음악을 크게 틀어 폐허 같은 분위기를 연출했다.
퍼포먼스가 시작되자 조명이 흰색으로 바뀌고 전시장 속 쓰레기의 모습이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작품이 매달린 배튼(batten·조명과 무대 장치를 다는 가로대)이 조금씩 움직일 때마다 다른 모습이 연출됐다. 배우 나경호가 무대로 나와 한편에 놓인 쓰레기들을 쓰다듬거나 던지고 두드리면서 “제비야 내 꿈 좀 버려줘”, “해석에 실패하고 싶다” 등 김승일 시 ‘버리는 제비’ 중 일부 구절을 절망스러운 목소리로 읊었다. 시간이 지날수록 쓰레기를 던지고 부수는 강도가 강해졌다.
반대편에서는 음악가 이민휘가 발전기가 달린 자전거를 타고 스피커를 작동시켰다. 이 스피커가 켜지면서 쓰레기들이 부딪치며 나는 소리가 흘러나왔다. 이 소리가 계속해서 나게 만들기 위해서는 자전거 페달을 끊임없이 밟아야 하기에 퍼포먼스 막바지에는 퍼포머가 고통스러워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이러한 퍼포먼스는 그간 작가가 쓰레기를 소재로 마치 고통스러운 듯 꿈틀거리게 표현한 작품을 통해 보여줬던 자기혐오와 연민을 배우들의 행동과 대사, 사운드 등을 통해 새로운 방식으로 풀어낸 것으로 해석된다.
설치 작품과 퍼포먼스가 보여주는 힘겨움과 고통의 이미지는 날카롭지만, 그 근원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궁금증이 남았다. 이 작가는 전시 서문에서 “폐기물은 우리가 꾸는 모든 꿈이 결국에는 돌아가게 될 장소”라며 “잔해의 이미지는 우리가 잊어버리려 몸부림치지만 언제나 바로 뒤에 바싹 붙어 있는 풍경”이라고 설명했다.
김민 기자 kimmin@donga.com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