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백나무 한계를 넘다”…내한성 편백 개발로 산림 복원에 앞장서는 우세균 회장

1 week ago 3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경기 포천시의 우세균 회장은 내한성 편백나무를 성공적으로 재배하여 편백나무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

그는 10만 그루의 종자를 심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었지만, 결국 30만 그루의 건강한 편백나무 농장을 조성하고 다양한 조림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우 회장은 산림 복원과 어린이 교육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편백나무를 무상으로 지원하며, 앞으로도 힐링 체험 공간을 통해 사람들에게 자연의 이로운 경험을 제공할 계획이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우세균 경기편백나무농원 회장. 이대현기자

우세균 경기편백나무농원 회장. 이대현기자

“편백나무 한 그루로 시작해 숲을 이루고, 그 숲으로 사람을 치유하는 꿈을 현실로 만들고 있습니다.”

편백나무 하면 흔히 제주도나 남부지방을 떠올린다. 따뜻한 기후에서 자라는 수종이라는 인식 때문이다. 그러나 이 편견을 깬 인물이 있다. 경기 포천시에서 편백 불모지였던 중부 이북지역에 내한성 편백나무를 성공적으로 재배해낸 우세균 경기편백나무농원 회장이 그 주인공이다.

우 회장은 지난 2010년 과수원을 운영하던 부모님 밑에서 자연스럽게 나무에 대한 관심을 키워오다 일본 여행 중 편백나무의 매력에 매료됐다. 귀국 후 남부보다 기온이 낮은 포천에 농장지를 마련하고 10만 그루 씨앗을 뿌렸으나, 혹한의 겨울에 모두 고사하고 단 한 그루만 살아남는 시련을 겪었다.

우 회장은 “처음엔 정말 막막했다. 포천이라는 지역에서도 편백이 자라게 하고 싶다는 일념 하나로 토질부터 바꾸며 3년간 토양 개량에 매달렸다”고 말했다.

그 결과, 점차 발아율이 높아지며 마침내 30만 그루의 울창한 편백나무 농장을 일구는 데 성공했다. 특히 우 회장이 개발한 편백나무는 일반 편백보다 추위에 강한 내한성 품종으로, 중부 이북지역 산림에도 식재가 가능해졌다.

이 과정에서 2020년에는 종자 등록까지 마쳐 산림 전문가들로부터 그 가치를 인정받으며 각종 조림 프로젝트에 활발히 참여하고 있다.

그의 목표는 단순한 사업을 넘어, 재선충병과 산불로 고통받는 산림 복원에 있다. 우 회장은 산림 복원을 위해 경기도와 수도권 지자체에 편백나무를 무상으로 지원하며, 특히 어린이들의 건강한 교육 환경 조성을 위해 경기중부지역 초등학교 숲 조성에도 힘쓰고 있다.

그는 “아이들이 맑은 공기 속에서 마음껏 뛰어놀고, 피톤치드 가득한 숲에서 자라길 바라는 마음”이라며 “산림을 가꾸는 건 우리 세대만을 위한 일이 아니라, 다음 세대를 위한 준비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편백나무는 천연 살균물질인 피톤치드를 다량 함유해 스트레스를 낮추고 면역력을 높이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특히 아토피와 호흡기 건강, 미세먼지 저감에도 효과적이라 현대인에게 더없이 이로운 수종이다.

우 회장은 이 같은 경험을 선사하기 위해 포천 농원에 힐링 체험 공간을 조성해 누구나 숲속에서 피톤치드 테라피를 경험할 수 있도록 문을 열었다.

올해 역시 포천 화현면과 일동면에 각각 2만평, 6300백평 규모 농원에 20여만 그루의 편백나무를 재배 중이며, 앞으로 수도권 지자체를 대상으로 치유의 숲 조성 사업을 본격 확대할 계획이다.

우 회장은 “산림은 국민의 삶의 질과 직결되는 문제다. 앞으로도 내한성 편백을 중심으로 건강한 숲을 만들어가며, 대한민국 산림 복원의 작은 씨앗이 되겠다”고 밝혔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