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병대 채상병 사건 수사 방해 의혹을 수사하는 순직해병특검이 8개 수사대상 사건별로 전담할 4개 수사팀을 구성하고 본격 수사에 돌입했다.
정민영 특검보는 2일 서울 서초동 특검사무실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순직해병 특검 수사대상 사건은 다른 특검과 다르게 큰 줄기로 한 사건이지만, 인력 분업이 필요해 팀을 나눴다"며 이같이 밝혔다.
수사 1팀은 2023년 7월19일 발생한 채상병 사망과 동료 해병대원 상해 사건 등 업무상 과실치사(상) 사건 수사를 맡고, 2팀은 김건희 여사가 연루된 '임성근 구명로비' 의혹과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의 호주대사 임명 과정에서 대통령실의 직권남용 등 불법행위를 수사한다.
수사 3팀은 순직해병 특검의 주요 수사대상인 'VIP 격노설' 등 채상병 사망 사건에 대한 대통령실의 은폐, 무마, 회유, 사건 조작 등 직무유기·직권남용 등 의혹 수사를 맡고, 수사 4팀 서울고등법원에서 진행되고 있는 해병대 전 수사단장 박정훈 대령의 항명 혐의 항소사건 공소 유지를 담당한다.
수사 1·2팀은 그동안 채상병 사망 과실치사 사건을 수사해온 대구지검 김성원 부장검사가 총괄하고, 수사 3팀은 천대원 수원지검 부장검사가 총괄한다.
박정훈 대령의 해병대 수사단 직속 부하였던 박세진 중령은 박상현 공수처 부부장검사와 함께 수사 3팀에서 수사외압 의혹을 수사한다.
강일구 서울경찰청 안보수사2과장(총경)은 2팀에서 구명로비 의혹 수사를 맡았다. 박정훈 대령 항소심 공소 유지를 맡는 4팀은 군법무관인 신강재 중령이 총괄한다.
특검은 박 대령의 항명 혐의 항소심에 대한 항소 취하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순직해병특검은 수사개시일인 이날 오후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할 예정이다. 채 상병의 부대장이었던 임 전 사단장은 무리한 수색 지시로 채상병 사망 사고를 불러일으켰다는 혐의와 함께 김건희 여사를 통한 불법 구명로비 의혹을 받고 있다.
고정삼 한경닷컴 기자 js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