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이용성 기자] 베트남이 미국과의 관세 협상 의지를 드러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베트남에 46%의 초고율 상호관세를 부과한 가운데 또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이 베트남의 대미 관세율을 인하하겠다면서 협상 의사를 밝혔기 때문이다.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AFP) |
트럼프 대통령은 4일(현지시간) 자신의 소셜미디어(SNS)에 올린 글에서 “또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과 생산적인 통화를 했다”라며 “럼 서기장이 통화에서 ‘만약 미국과 협정을 맺을 수 있다면 베트남의 관세를 0으로 낮추고 싶다’고 말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을 대표해 감사의 뜻을 표했다”면서 “가까운 미래에 만나길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베트남 정부도 성명을 내고 “럼 서기장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미국산 수입품 관세 인하를 약속하면서 동시에 미국이 베트남에서 수입하는 상품에 비슷한 세율을 적용하자고 제안했다”고 전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과 럼 서기장이 이런 내용을 구체화하고 관세에 대한 양자 협정에 곧 서명하기 위해 계속 논의하기로 뜻을 모았다”고 부연했다.
특히 베트남 정부는 관세와 관련해 협상할 시간을 갖기 위해 오는 9일 발효 예정된 46%의 상호관세 부과를 1∼3개월 연기해달라고 미국 측에 요청했다. 또 항공기·액화천연가스(LNG) 등 미국산 상품을 더 많이 수입하고 미국 기업의 베트남 투자를 촉진하는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로이터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지난달 말 베트남 정부는 미국산 LNG·자동차·에탄올·에탄에 대한 관세를 낮추거나 없애고 닭다리살·사과·아몬드 등 농산물 관세도 인하하기로 결정 했다.
또 베트남 저비용항공사(LCC) 비엣젯은 오는 9일 미 워싱턴DC의 주미 베트남 대사관에서 세계적 경영참여형 사모펀드(PEF)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 측과 2억 달러(약 2900억원) 규모의 항공기 금융 거래를 체결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