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모든 국가에 상호관세" 아시아 콕 짚어 "불공정" 비난

1 day ago 3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상호관세' 부과에 대해 모든 국가를 대상으로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참모들 간의 엇갈린 메시지와 함께 내부 혼란이 커지고 있으며, '더 강력한' 관세 적용이 검토되고 있다는 보도가 이어지고 있다.

백악관 고문은 관세 부과로 인해 향후 10년 동안 6조 달러의 연방 세수가 늘어날 것이라고 주장하며, 이는 자동차 관세와 관련이 있다고 설명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나바로 "한국·일본·독일은
美를 조립국가로 전락시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무역 상대국별 관세·비관세 장벽을 고려해 부과하기로 한 '상호관세'와 관련해 "모든 국가를 대상으로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상호관세 발표를 불과 며칠 앞둔 시점임에도 참모 간 엇갈린 메시지가 발신되며 내부적으로도 혼란이 가중되는 모습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던 '보편관세'가 최근 며칠 새 다시 거론되고 있다는 보도도 나오는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30일(현지시간) 플로리다 팜비치에서 워싱턴DC로 이동하는 비행기에서 언론과 만나 10~15개 나라에 부과하는 것을 준비하느냐는 질문에 "나는 10~15개 나라에 대한 루머를 들은 적이 없다. 기본적으로 우리는 모든 국가를 말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만약 여러분이 역사에서 우리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살펴본다면, 아시아로 가서 아시아의 모든 국가가 무역은 물론 군사적으로 미국에 어떻게 했는지 본다면, 나는 누구도 우리를 공정하거나 좋게 대했다고 말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까지 산업·금융권에서 예상하는 상호관세의 가장 유력한 옵션은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이 밝힌 것처럼 미국 무역파트너의 15%에 해당하는 '더티 15(Dirty 15)' 국가에 관세를 부과하는 것이다. 이들 국가는 미국 전체 수입의 약 90%를 차지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언급은 '타깃'을 정하는 대신 전체 국가를 대상으로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더군다나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며칠 새 참모들에게 '더 강력한' 관세 적용을 주문했다는 보도도 이어지는 상황이다.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은 같은 날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로 앞으로 10년간 6조달러 이상의 연방 세수가 늘어날 것이라고 주장했다. 나바로 고문이 자동차 관세에 따른 연방 수입이 연간 1000억달러에 달할 것이라 밝혔음을 고려하면 나머지 5000억달러는 상호관세와 품목별 관세에서 얻는 세수로 추정된다. 관세가 더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발언인 셈이다.

나바로 고문은 또 한국 등 주요 자동차 수출국들이 미국의 자동차 산업을 약화했다면서 "독일, 일본과 한국인들이 이 나라를 제조 국가에서 조립 국가로 만들고 있다"고 밝혔다.

[워싱턴 최승진 특파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