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서한 압박에도 한·일 증시 상승

1 day ago 4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이 7일(현지시간) 기자회견에서 한국과 일본에 대한 관세 부과를 통지하는 트럼프 대통령의 서한을 들어보이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이 7일(현지시간) 기자회견에서 한국과 일본에 대한 관세 부과를 통지하는 트럼프 대통령의 서한을 들어보이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일본 등에 새로운 관세율 통지 서한을 보내 무역 협상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고, 추가 협상 여지도 동시에 남긴 가운데서도 한국과 일본 등 아시아 주식은 상승세를 보였다. 전 날 하락했던 미국 증시는 소폭 반등했다.

8일(현지시간) 트럼프의 관세 서한 압박에도 코스피는 1.8% 급등했고 일본 증시는 0.2% 올랐다. 홍콩 항셍 지수는 1.09%, 상하이 CSI300은 0.7% 각각 상승했다. 아시아 주요 지수는 0.3% 소폭 올랐다. 한국의 원화는 강세를 보였고 달러화는 0.2% 하락했다. 일본 엔화는 전 날과 비슷한 수준에서 거래됐으며 일본의 3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상승세를 이어갔다.

미국 동부 표준시로 이른 오전 5시경 S&P500 주가 지수 선물은 0.08% 올랐고 나스닥 100선물은 0.21% 상승했다.

이 날 유로화는 미국이 유럽연합(EU)에 10% 관세율을 적용하는 협상을 제안했다는 보도에 힘입어 0.3% 올랐다. 유럽의 광범위한 기업을 커버하는 스톡스 600 지수는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폴리티코는 미국이 민감한 부문에 대한 면제를 조건으로 10%의 기본 관세율을 유지하는 방안을 유럽연합(EU)에 제안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 날 일본과 한국에 각각 25%의 관세율을 8월 1일부터 부과하겠다는 서한을 보냈다. 한국은 지난 4월 2일에 발표한 상호관세율과 동일하며, 일본은 24%에서 25%로 1% 높아졌다. 이번에 트럼프의 관세 서한을 받은 국가는 이 밖에 방글라데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세르비아, 남아프리카공화국, 태국, 튀니지 등 14개국이다.

외신들은 이번 관세 서한의 주된 타겟이 교역 규모가 미국의 상위 5위인 일본과 상위 7위에 해당하는 한국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이 두 국가는 또 자동차에 25%, 철강 및 알루미늄에 50% 등 품목 관세 적용을 통해서도 이미 큰 피해를 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초 7월 9일에서 8월 1일로 상호 관세 마감일을 연장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이는 여러 고위 관리들의 추가 정보와 권고에 따른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트럼프 대통령은 “좋은 제안을 한다면 8월 1일 시행일도 늦출 수 있다며 협상에 여전히 열려 있다”고 덧붙였다.

HSBC의 아시아 수석 경제학자인 프레데릭 노이만은 "투자자들이 최근 트럼프의 관세 발표를 단순히 협상 가속화 전략이며 최종 결정은 아니라고 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무역 협상 마감일을 연장한 것에 대해서도 금융 시장이 크게 반응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M&G 투자운용의 멀티 에셋 및 지속가능성 부문 최고투자책임자(CIO)인 파비아나 페델리는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시장은 이 정도 수준의 위기에 피로감을 느끼게 됐으며 결국 투자자들이 그냥 투자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뉴욕 퀀트 데이터의 설립자인 앤드류 하이징어는 "시장은 이미 무역 협상이 연장될 가능성을 가격에 반영했고, 내재 변동성이 매우 낮았기 때문에 큰 우려는 없어 보인다”고 말했다.

김정아 객원기자 kja@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