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오는 20일(현지 시간) 취임 후 24시간 안에 발표할 행정명령에 대해 한국 기업들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관세는 가장 아름다운 단어”라는 트럼프 당선인의 소신에 따라 세워질 ‘관세 장벽’이 세계 경제 질서에 큰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취임 후 △멕시코·캐나다에 25% 관세 △중국산 제품에 60% 관세 △수입품에 대한 10~20% 보편관세 등에 서명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 미국·멕시코·캐나다협정(USMCA)에 따른 무관세 혜택을 노리고 이곳에 생산 거점을 차린 한국 기업이 타격을 입을 수 있다. 원유 생산 4위인 캐나다는 원유 수출량의 97%를 미국에 내다파는 만큼, 이 물량이 글로벌 시장에 나오면 유가가 떨어질 수도 있다.
반면 미국에 생산 설비를 꾸린 기업들은 관세 혜택에 따라 판매처가 더 넓어질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태양광 등 중국의 ‘저가 공세’에 내몰린 업종은 관세가 높아지는 데 따른 수혜가 예상된다.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를 높이기 위해 가장 먼저 조준할 품목으로는 자동차, 배터리, 주요 광물, 반도체, 철강 등이 거론된다.
다만 이들 제품은 미국 산업에도 중요한 만큼 동맹국과 개별적으로 관세 면제 등 협상에 나설 예정이다. 한국무역협회는 이날 발표한 ‘2025년 글로벌 통상환경 전망’ 보고서를 통해 “트럼프 행정부가 보편 관세, 상호 관세를 부과하더라도 특정 국가와 품목을 정해 상대국을 압박할 것”이라며 “우리 기업의 미국 공급망 기여도를 바탕으로 면세 혜택을 노려야 한다”고 제언했다.
철강, 알루미늄에 대해선 관세가 강화될 가능성이 있다. 트럼프 당선인은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에 대해 “완전히 반대한다”며 “관세와 세제 혜택으로 미국 철강업을 강하게 만들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전기자동차 우대 정책을 폐지한다는 구상도 여러차례 밝혀왔다. 미국은 현지 생산된 전기차에 대당 7500달러의 소비자 세액공제를 주고 있는데, 이 제도가 사라질 가능성이 높다.
김형규 기자 k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