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인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와 용산구 아파트값 상승세가 한풀 꺾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포·성동구 등 ‘한강벨트’ 집값 오름세도 약해졌다. 정부와 서울시의 규제 강화, 조기 대선 정국으로 인한 불확실성 등이 겹치며 부동산 시장이 전반적으로 숨 고르기에 들어갔다는 분석이 나온다.
◇급등세 꺾인 강남 아파트값
10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주(지난 7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는 1주일 전보다 0.02% 내렸다. 수도권(0.03%→0.01%) 상승세가 약해졌고, 지방(-0.05%→-0.05%)은 하락폭이 유지된 영향이다.
서울(0.11%→0.08%)은 10주째 상승을 이어갔지만 오름세는 약해졌다. 3월 셋째 주(3월 11~17일) 0.25%까지 치솟은 서울 집값 상승률은 강남 3구와 용산구의 모든 아파트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확대 지정된 후 급등세가 꺾였다. 자치구별로 강남구(0.21%→0.20%) 서초구(0.16%→0.11%) 송파구(0.28%→0.16%) 용산구(0.20%→0.13%) 등의 오름폭이 모두 줄었다.
일부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신고가 거래는 이어지고 있다. 강남구 압구정동 ‘한양4차’ 전용면적 208㎡(4층)는 지난 3일 85억원에 손바뀜해 최고가를 다시 썼다. 지난 1월 같은 면적 10층 물건이 77억원에 거래된 것을 감안하면 석 달 만에 8억원 더 뛴 것이다. 송파구와 서초구는 정부와 서울시가 토지거래허가구역을 확대 지정한 지난달 24일 후 한 건의 아파트 거래도 신고되지 않았다. 부동산원은 실거래가 신고가 없어도 매물 호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주간 변동률을 발표한다.
규제에서 비켜간 한강벨트에서 아파트값이 뛰는 이른바 ‘풍선 효과’는 기대만큼 크지 않다는 게 중개업소의 설명이다. 주요 한강벨트 지역인 성동구(0.30%→0.20%) 마포구(0.18%→0.17%) 영등포구(0.16%→0.11%) 양천구(0.20%→0.14%) 광진구(0.13%→0.06%) 강동구(0.15%→0.11%) 동작구(0.12%→0.09%) 등의 아파트값 상승세는 일제히 둔화했다.
단지별로 일부 신고가 거래는 나오고 있다. 입주 10년 만에 올해 아파트 등기가 완료된 마포구 아현동 ‘공덕자이’ 전용 84㎡는 8일 20억9000만원에 새 주인을 찾았다. 기존 최고가보다 5000만원 뛴 거래다. 신공덕동 ‘신공덕e편한세상’ 전용 59㎡는 1일 11억4500만원에 팔려 신고가를 기록했다.
서울 외곽 지역 아파트값은 다소 회복세를 보였다. 지난주 하락 전환한 ‘노도강’(노원·도봉·강동구) 집값은 이번주 상승 또는 보합을 나타냈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서울 재건축 추진 단지 등에서는 매수 문의가 꾸준하고 상승 거래도 체결된다”면서도 “매수 관망세가 확대돼 수도권 전체적으로 지난주보다 상승폭이 줄었다”고 말했다.
◇서울 등 수도권 전셋값 안정되나
서울 전셋값(0.05%→0.02%)은 오름세를 이어갔지만 상승폭은 감소했다. 수도권(0.04%→0.02%) 전체로도 전셋값이 조금씩 안정화하는 추세다. 전국 전셋값은 보합(0.00%)을 나타냈다.
서울 자치구별로 서초구(-0.01%→-0.08%)는 낙폭이 확대됐고, 강남구(0.02%→-0.01%)는 하락 전환했다. 송파구(0.15%→0.10%) 강동구(0.16%→0.07%) 동작구(0.10%→0.05%) 용산구(0.06%→0.05%) 마포구(0.06→0.04%) 등은 상승률이 둔화했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역세권, 학군지, 대단지 등 인기 주거지 위주로 임차 수요가 이어져 상승 계약이 체결되고 있다”면서도 “준공한 지 오래된 아파트에선 전셋값이 내려 서울 전체 상승폭은 줄었다”고 설명했다.
안정락 기자 jr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