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서울 강남권 아파트 경매시장이 뜨겁게 달아올랐다. 토지거래허가구역 규제를 피하려는 투자 수요가 몰린 탓이다.
2일 경·공매 데이터 전문기업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달(4월 30일 기준) 진행된 서울 강남구 아파트 경매 7건 가운데 5건이 새 주인을 찾았다. 낙찰률은 71.4%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송파구는 14건 중 9건이 낙찰돼 낙찰률 64.3%. 서초구는 7건 중 4건 낙찰로 57.1%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서울 아파트 경매는 264건 중 117건만 낙찰되며 평균 낙찰률 44.3%에 그쳤다. 강남 3구 아파트 경매 성사 확률이 타 지역 대비 10~20%포인트(p) 이상 높은 셈이다. 낙찰가율도 서초구(100.8%), 송파구 (110.3%) 등 서울 평균(97.2%)를 웃돌았다. 강남 낙찰가율은 96.4%였다.
강남 3구 평균 응찰자 수도 9.4명을 기록하며 서울 평균(8.56명)보다 많았다. 아파트 한 채 경매에 9명 이상 참여해 경쟁을 벌였다는 의미다.
강남권 아파트 경매 시장 열기가 뜨거운 이유로는 토지거래허가구역 규제가 꼽힌다. 경매로 낙찰받은 아파트는 토지거래허가구역 대상에서 제외돼 실거주 등의 의무에서 자유롭기 때문이다.
낙찰자가 대금을 모두 내 경매로 나온 아파트를 인수하면 곧바로 전세를 받는 것도 가능하다. 일시적인 자금 부담만 감당할 수 있다면 갭투자와 같은 효과를 누릴 수 있는 것이다.
높아진 인기에 지난달 서울 아파트 낙찰가율 상위 10곳 중 9곳도 강남3구와 인근 '한강 벨트' 단지에서 나왔다.
낙찰가율 1위는 송파구 문정동 '올림픽훼밀리타운' 전용면적 84㎡(6층)로, 지난달 28일 감정가의 127.0%인 20억5680만원에 낙찰됐다. 응찰자 수는 29명을 기록했다.
리모델링 단지인 강남구 청담동 '건영' 전용 85㎡(17층)도 같은 달 2일 감정가 30억3000만원의 125.8%인 38억1132만원에 낙찰됐다. 응찰자수는 17명이었다.
업계 관계자는 "토허제 지역을 중심으로 경매시장 강세가 나타나면서 인근 지역으로도 열기가 번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