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 비중 34%, 30대 33% 추월
“자금력 갖춰 강남권 갭투자 등 주도”
3월 한 달 동안 40대가 서울 아파트를 가장 많이 사들였다. 2월 12일부터 40일가량 토지거래허가구역이 해제되면서 서울 집값이 상승세를 보이는 동안 자금력을 갖춘 40대의 매입 비중이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서울 아파트 시장에서 연령대별 매입 비중은 2019년 관련 통계가 공개된 이후 지난해까지 30대가 두드러진 매수세를 보여 왔다. 2019년 30대 매입 비중은 평균 28.8%로 40대(28.7%)와 비슷했다. 이후 격차를 벌리다가 집값 급등기였던 2021년 빚을 내 집을 사는 ‘영끌족’이 늘면서 30대 매입 비중(36.4%)은 40대(26.4%)보다 10%포인트 웃돌기도 했다.
하지만 지난해 금리 부담과 2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시행, 시중은행의 대출 규제 등으로 목돈 마련에 어려움을 겪은 30대(31.9%) 매입 비중은 40대(31.7%)와 비슷해졌다.이런 상황에서 토허제 해제 이후 아파트값이 오르자 30대보다 자금력이 있는 40대 매수세가 두드러졌다. 실거주 의무가 사라지면서 갭투자를 통해 강남권 등으로 갈아타려는 40대 수요가 몰린 영향도 있다.
실제 토허제 해제로 아파트 가격이 급등했던 강남권과 ‘마용성’(마포, 용산, 성동구)을 중심으로 40대 매입 비중이 증가했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 10곳에서 40대 매입 비중이 30대보다 높았는데 이 중 강남구와 서초구는 40대가 30대보다 20%포인트 이상 높은 매입 비중을 보였다.
고준석 연세대 상남경영원 주임교수는 “생애주기적으로 30대는 결혼을 하면서 내 집 마련에 나서는 시기이고 무주택자들이 많아 아파트 매입 비중이 높다”며 “토허제 해제처럼 예외적인 상황이 있지 않으면 30대 비중이 다시 40대를 추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임유나 기자 imyou@donga.com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