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정부, 사회가 함께 새로운 방식으로 사회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한다.”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사진)은 8일 서울 세종대로 대한상의 회관에서 열린 ‘지속 가능한 우리 사회를 위한 새로운 모색’ 토론회에서 “돈을 집어넣어도 해결할 수 없는 사회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저출생을 비롯한 최근 사회 문제들이 돈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만큼 기존의 성공 방정식을 바꿔야 한다는 것이 최 회장의 진단이다. 그는 “기업들이 돈만 벌면 된다는 형태로 자본주의 시스템이 디자인됐다”며 “사회적 문제를 풀 수 있는 사람에게 인센티브를 줘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최 회장은 “기업은 이제 수익만이 아니라 사회 문제 해결의 주체로 거듭나야 한다”고 했다. CSR(사회적 책임), ESG(환경·사회·지배구조)처럼 특정한 책임을 따로 떠맡는 방식이 아니라 사회 문제 해결을 기업의 핵심 전략과 수익 모델로 통합해야 한다는 것이다.
인공지능(AI)과 같은 기술의 발전이 이런 변화를 이끌 것이라고도 진단했다. 최 회장은 “사회적 기여를 수치화하고 평가할 수 있어야 인센티브 시스템이 작동할 수 있다”며 “AI와 디지털 기술이 이를 가능케 할 도구”라고 덧붙였다.
한편 SK그룹은 비영리재단 사회적가치연구원을 통해 2015년부터 사회성과인센티브(SPC)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사회적 기업이 창출한 사회적 가치를 측정해 이에 상응하는 인센티브를 지급하고 있다. 10년간 사업에 참여한 사회적 기업은 500여 개다. 이 기업들이 창출한 사회 문제 해결 성과는 약 5000억원, SK가 보상으로 지급한 인센티브는 약 700억원이다.
김진원/사진=이솔 기자 jin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