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30만원 받아가세요”…나 빼고 접수 첫날 79만명 신청한 ‘이것’

6 hours ago 6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상생페이백 프로그램의 접수가 시작된 첫날에 약 79만명이 신청했다고 밝혔다.

이 프로그램은 만 19세 이상 국민이 지난해 월별 카드 소비액을 초과할 경우, 증가분의 20%를 디지털 상품권으로 환급받는 제도로, 신청자 중 절반 이상이 수도권에서 유입되었다.

중기부는 지원 대상자 여부를 이틀 후 알림톡으로 안내할 예정이며, 사용처도 확대되어 로컬푸드직매장 등이 포함되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중소벤처기업부]

[사진 출처 = 중소벤처기업부]

중소벤처기업부는 상생페이백 접수를 개시한 전날 약 79만명이 신청했다고 16일 밝혔다.

상생페이백은 만 19세 이상의 국민을 대상으로 이달부터 오는 11월까지 월별 카드 소비액이 지난해 월평균 카드 소비액보다 늘어났다면 증가한 금액의 20%까지 월 최대 10만원, 3개월간 30만원 한도에서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 주는 사업이다.

5부제 접수 첫날인 전날 79만1798명이 상생페이백 누리집을 통해 신청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서울·경기·인천)에서 44만명이 신청해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수도권 외 지역에서는 부산 5만2000명, 경남 4만5000명 순으로 집계됐다.

중기부는 전날 신청자를 기준으로 지원 대상자 여부와 지난해 월평균 카드 실적을 이틀 후인 17일 오전부터 알림톡으로 안내할 예정이다. 이달 1일부터 누적 카드 실적은 오는 18일 상생페이백 누리집 ‘페이백·소비복권 조회하기’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다.

상생페이백 사용처 중에서 하나로마트의 경우 기존에 유사 업종이 없는 면 지역 소재 점포만 해당했으나 읍·면 지역까지 넓혀 사용처가 780개로 늘었다. 지역 생산 농산물을 직접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로컬푸드직매장’ 251곳도 사용처로 추가됐다.

중기부는 상생페이백 런칭 기념으로 오는 30일까지 디지털 온누리 앱에서 상품권을 누적 5만원 이상 충전하면 추첨을 통해 1만원의 상품권을 1만명에게 지급하는 이벤트도 한다.

이대건 중기부 소상공인정책관은 “상생페이백을 모르고 신청하지 못한 국민이 없도록 지속해 홍보하고 사업 수행에 차질 없게 하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