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생 학부모, 아이 경제 교육위해
저축 습관·용돈관리·금융 교육 실시
학부모 가장 큰 고민거리는 ‘충동구매’
체크카드·현금 사용이 가장 많아
초등학생 학부모 10명 중 7명은 가정에서 자녀에게 경제 교육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이들에게 경제관념을 심어주기 위해 평균 8.4세부터 월 3만원씩 용돈으로 주는 것으로 조사됐다.
28일 영어교육 전문기업 윤선생이 공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초등 자녀가 있는 학부모의 68.8%는 ‘자녀에게 경제 교육 중’이라고 답했다.
어떤 경제 교육을 하는지(복수응답) 묻는 질문에는 ‘저축 습관 만들기(65.8%)’를 고른 학부모가 가장 많았다. 2위는 ‘용돈 스스로 관리(50.1%)’, 3위는 ‘이자 등 금융 교육(20.3%)’이 차지했다. 다음으로 ‘경제 관련 뉴스, 영상 시청(14.1%)’, ‘주식 등 재테크 교육(6.2%)’, ‘경제 교육, 특강 참여(3.0%)’ 순이었다.
초등생 학부모 대다수(83.8%)는 ‘자녀에게 용돈을 주고 있다’고 답변했다. 이 가운데 정기적으로 정해진 금액을 주는 학부모는 82.1%로 비율이 높았고 비정기적으로 주는 학부모는 17.9%였다. 정기적으로 용돈을 주는 경우 그 주기는 ‘매주(61.0%)’가 가장 많았으며, ‘매월(32.8%)’, ‘격주(4.7%)’, ‘매일(1.5%)’ 순이었다.
처음 용돈을 주기 시작한 나이는 평균 만 8.4세이며, 월평균 3만740원을 주는 것으로 집계됐다. 용돈을 주기 시작한 이유(복수응답)는 ‘경제관념을 심어주기 위해서(61.5%)’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이어 ‘아이가 원해서(48.7%)’, ‘아이의 주변 친구들도 용돈을 받기 시작해서(23.2%)’ 순이었다. 이외에도 ‘아이가 혼자 있는 시간이 늘어나서(16.7%)’, ‘아이에게 필요한 물건이 많아져서(10.4%)’ 등의 답변도 있었다.
자녀의 용돈 사용 방식(복수응답)에 대해서는 ‘체크카드(충전식 카드)’가 64.2%로 가장 많았다. ‘현금(48.9%)’이 2위였다. ‘부모 명의의 신용카드(2.6%)’를 쓰는 경우는 소수에 그쳤다.
자녀가 용돈을 주로 어디에 사용하는지(복수응답)에 대해서는 ‘간식∙군것질(77.0%)’이라고 말한 학부모가 제일 많았다. 다음으로 ‘문구∙학용품(47.5%)’, ‘게임 등 취미 생활(32.2%)’ 순이었다. ‘평소 갖고 싶은 것을 산다’는 21.8%, ‘저축’은 12.8%에 였다.
한편 학부모들은 자녀의 용돈 사용 관련해 가장 큰 고민거리로 ‘계획 없이 충동구매 하는 것(41.2%)’을 꼽았다. ‘절약하지 않고 모두 써버리는 것(21.8%)’, ‘친구 비용까지 계산하고 정산받지 못하는 것(11.6%)’이 뒤를 이었다. ‘매번 더 달라고 하는 것(6.5%)’, ‘돈을 분실하는 것(6.3%)’, ‘고가의 물건도 서슴지 않고 구매하는 것(3.9%)’ 등의 답변도 있었다.
이번 설문조사는 지난 15일부터 20일까지 초등 자녀를 둔 학부모 586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엄지성 이어 조규성·이한범도 포스텍 울렸다! 미트윌란, 노팅엄 원정서 3-2 승리…포스텍의 노팅엄, ‘패패무무패패’ 멸망 [유로파리그]](https://pimg.mk.co.kr/news/cms/202510/03/news-p.v1.20251003.f2964094c0e0447f84af28c5f48d0e9a_R.jp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