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정부지 아이폰값 막으려"…다급한 애플 향한 '이곳'

1 day ago 3

사진=AFP

사진=AFP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중국과 '관세 전쟁'을 펼치면서 미국 글로벌 기업 애플이 지난 1년 동안 인도 내 아이폰 생산량을 크게 늘린 것으로 드러났다.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13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업계 관계자는 애플이 지난해 4월부터 지난달까지 인도에서 생산한 아이폰 물량은 총 220억달러(약 31조원·공장 출고가 기준)어치에 달했다고 전했다. 전년 동기보다 60% 가까이 늘어난 규모다. 이에 따라 세계 아이폰 생산에서 인도 비중은 약 20%로 상승했다.

아울러 인도 기술부에 따르면 이 기간 인도에서 생산된 아이폰 중 1조5000억루피(약 25조원) 어치가 외국으로 수출됐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월 상호관세 부과 방침을 발표한 이후 인도에서 미국으로의 아이폰 수출이 급증했다고 관계자들이 전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애플은 지난달부터 상호관세 부과를 피하기 위해 전세기 6대를 동원해 아이폰 약 150만대, 600톤(t) 분량을 인도에서 미국으로 긴급 공수하기도 했다.

애플은 앞으로 인도에서 생산된 아이폰의 미국 시장 공급량을 더 늘릴 방침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이 초고율 관세를 중국에 집중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관세율이 낮은 인도에서 생산한 제품을 미국에 공급해서 관세 부담을 줄이겠다는 전략이다.

다만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현지시간 12일 스마트폰·컴퓨터 등을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했다. 그 결과 미국이 중국에 부과하는 125%의 추가 상호관세는 중국 생산 아이폰에 적용되지 않지만, 상호관세와 별도로 중국에 부과한 20%의 관세는 유지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 상호관세가 면제된 인도 생산 아이폰이 20%의 관세를 적용받는 중국산 제품보다 미국 시장에서 가격으로 유리해졌다. 애플은 중국 생산 비중을 낮추려고 애쓰고 있지만, 공급업체가 약 200곳에 이르고 중국 의존도가 워낙 높아 생산지를 다른 나라로 단기간에 옮기기는 어려운 형편이다.

미국 안에서 아이폰을 생산하기도 어려울 전망이다.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에서 아이폰이 생산되도록 하겠다는 뜻을 뚜렷이 밝히고 있지만, 생산 시설·인력 부족 등 이유로 애플이 미국으로 생산지를 이전할 가능성은 작다고 블룸버그는 관측했다.

애플은 2017년 인도에서 구형 아이폰 생산을 시작했지만, 코로나19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당시 중국 공장에서 심각한 생산 차질을 겪은 뒤 아이폰 생산지를 인도로 다각화하려고 노력해왔다. 인도에서 생산되는 아이폰의 대부분은 인도 남부에 위치한 폭스콘(훙하이<鴻海>정밀공업) 공장에서 조립되며, 인도 기업인 타타 일렉트로닉스 등도 주요 공급업체다.

박수빈 한경닷컴 기자 waterbean@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