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전 세계적인 돌풍을 일으킨 주역 ‘오징어 게임 3’와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가 한류의 문화 생산 방식을 바꾸고 있다. 오징어 게임 시리즈와 케데헌은 넷플릭스 오리지널 또는 소니 엔터테인먼트에서 제작한 콘텐츠로 국내 미디어 문화업계가 제작해 오던 기존의 한류 콘텐츠의 제작 방식과는 다른 형태다. 많은 문화 전문가는 오징어 게임과 케데헌이 한류 콘텐츠인가에 관한 질문을 던지고 있다.
복잡해진 '콘텐츠 국적' 따지기
글로벌 문화시장에서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과 같은 문화 콘텐츠의 ‘국적’을 결정하는 데는 다양한 방식이 존재한다. 한국과 미국은 비슷하게 문화 콘텐츠를 제작한 기업들의 본사가 어디에 위치하는가, 해당 콘텐츠 제작비를 누가 담당했는가가 가장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면 오징어 게임이 넷플릭스 자본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미국의 문화 상품이라는 주장도 가능하다. 문화 콘텐츠는 두 나라 이상이 공동제작했을 경우 참여 국가 모두의 콘텐츠로 간주할 수 있다. 오징어 게임은 한국의 황동혁 감독이 대본을 쓰고 감독을 했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배우가 한국인이며, 한국에서 제작됐다는 점에서 자동적으로 한국 국적을 획득한다.
케데헌의 경우는 보다 복잡한 구조다. 소니 엔터테인먼트가 제작하고 넷플릭스가 배분을 담당했다는 점에서 미국 애니메이션으로 분류될 수 있으나 소니 엔터테인먼트의 모기업인 소니가 일본 기업이라는 점에서 일본 국적으로도 분류될 수 있다.
한국은 케데헌의 핵심 콘텐츠를 구성하는 K팝의 본산인 데다 출연진 상당수가 한국인이기 때문에 케데헌의 지분을 주장할 수 있다. 남산타워부터 국립박물관, 한국 호랑이와 까치, 그리고 갓이 등장하는 등 한국적 특성을 반영했다는 점에서 케데헌이 공동제작 방식으로 만들어진 한류 콘텐츠라고 주장할 수 있다.
'누가 만들었나' 보다 내용이 중요
오징어 게임과 케데헌은 결국 한류 콘텐츠는 이제 한국에서 한국인에 의해 한국 배경을 바탕으로 한 전통적인 방식의 제작 방식에서 벗어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박진영 JYP엔터테인먼트 창의성총괄책임자(CCO)가 새 K팝 아이돌을 외국인으로 구성하겠다고 선언했을 때 많은 사람이 반대 의견을 표시했다. K팝의 정체성을 훼손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케데헌은 전혀 다른 반응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미국 주도로 만들어진 대중문화임에도 케데헌이 얼마나 한국적인 특성을 잘 반영해 제작한 한류 콘텐츠인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늘어나고 있다.
오징어 게임 시리즈와 케데헌은 한류가 진화 중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외국 문화기업이었기 때문에 제작이 가능했다고 주장하는 것은 변화하고 있는 한류 제작 방식에서 핵심 사안이 아니다. 한류 콘텐츠를 어느 국가의 문화기업이 만드느냐가 아니라 한국적 특성을 어떻게 한류 콘텐츠에서 살려내는가가 핵심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진달용 사이먼프레이저대 특훈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