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시대위 “전주‧완주 통합 타당”…전주‧완주 반응은 엇갈려

4 weeks ago 4

지난달 11일 전북 전주시 그랜드힐스턴 호텔에서 열린 ‘완주‧전주 통합 자생‧민간 단체‧시민 결의대회’ 참석자들이 손팻말을 들고 두 지역의 통합을 기원하고 있다. 전주시 제공

지난달 11일 전북 전주시 그랜드힐스턴 호텔에서 열린 ‘완주‧전주 통합 자생‧민간 단체‧시민 결의대회’ 참석자들이 손팻말을 들고 두 지역의 통합을 기원하고 있다. 전주시 제공

전북 전주시와 완주군의 행정 통합이 추진되는 가운데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가 두 지역의 통합이 타당하다는 결론을 내놓았다. 통합에 대한 두 지역의 온도 차이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과거 세 차례 도전에도 이뤄내지 못했던 행정 통합이 이뤄질지 주목된다.

6일 전북도에 따르면 지방시대위원회는 최근 ‘완주‧전주 통합 건의에 대한 검토(안)’을 통해 두 지역의 행정 통합의 타당성을 인정하면서 두 지역이 통합하면 75만 대도시가 형성돼 도내 성장 거점도시의 기반이 만들어질 것으로 기대했다.

위원회는 지난해 7월 행정구역 통합 건의 이후 지역 현장 의견 수렴과 분과위원회 검토 등을 거쳐 이 같은 결론은 냈다. 행정안전부는 위원회의 검토 결과를 토대로 지방의회 의견 청취나 주민투표로 각 지역의 통합 의사를 확인한다. 그 시기는 올 하반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성장 토대 마련·소멸 위기 완화

위원회는 검토안에 전주시와 완주군 모두 성장 거점으로서 역할이 부족하고, 장기적으로 인구 감소가 예상돼 지속 가능성이 적다고 봤다. 단기적으로는 완주군이 전주시 대비 산업 여건과 고용 창출이 양호하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산업단지 노후화 등으로 지속 가능성이 불투명하다고 분석했다. 2050년까지 재정자립도가 떨어져 재정 여건도 악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따라 위원회는 인구, 생활권과 경제권, 발전 가능성, 지리적 여건 등 다양한 지표 분석을 토대로 두 지역 통합이 타당하다고 결론 냈다. 두 지역이 통합되면 75만 인구를 가진 전북 내 거점도시가 만들어져 자족 기능 강화로 성장 토대를 마련하고, 소멸 위기 완화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지리·역사·문화, 교통체계 등 대부분이 동질성을 공유하고 있어 통합 이후 정서적 화합을 위한 여건도 양호하다고 평가했다. 두 지역 장단점을 결합·보완하면 투자유치 및 양질 일자리 창출이 가능하고, 생활권에 상응하는 교통망 확충으로 정주 여건도 개선될 것으로 기대했다.

위원회는 그러면서 중앙부처는 통합도시의 자생력 확보를 위해 행정·재정·산업·지역개발 등에서 과감한 보상을 부여하고, 통합도시가 거점도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특례시 지정, 행정구 구획 변경 등 폭넓은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타당성 인정·공감대 형성 우선

두 지역 행정 통합을 위해 선행돼야 할 과제도 제시됐다. 올해 초 두 지역 현장 방문 과정에서 전주시는 찬성 여론이 대부분이었던데 반해 완주군에서는 찬반 여론이 혼재돼 정확한 주민 의사 파악이 곤란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과거 세 차례 통합 시도 무산과 완주군 내 반대 여론을 고려해 면밀한 주민 의사 파악과 공감대 형성 노력으로 향후 추진 과정에서 갈등의 골이 깊어지지 않도록 사전적·심층적 의견 수렴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전주시와 완주군은 1997년, 2009년, 2013년에 행정구역 통합을 시도했으나 완주 군민의 반대로 모두 무산된 바 있다.

●전북도·전주시 “존중”…완주군 “일방적 추진 안 돼”

위원회의 긍정 평가에도 통합 전망은 오리무중이다. 행정 통합에 대한 두 지역 견해차가 여전하기 때문이다. 위원회의 검토안 결과 발표에도 두 자치단체는 엇갈린 반응을 내놓았다.

전북도는 “완주‧전주 통합으로 지역발전에 서로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린 만큼, 두 지역 간 상생 발전을 위한 진지한 대화의 장이 조속히 마련되길 희망한다”라고 했다. 전주시는 “완주·전주가 하나로 가는 길이 통합과 화합의 길이 되도록 더 가까이 다가서며 더 많은 의견을 듣겠다”고 강조했다.

반면 유희태 완주군수는 “전북도와 전주시는 완주군민의 충분한 의견 수렴 없이 일방적인 통합 논의를 진행해 주민의 반발을 사 왔다”라며 “위원회도 지적했듯 통합 당사자인 완주군민의 목소리가 통합 논의의 중심에 서야 한다. 더 이상의 일방적 통합 논의를 철회하라”고 말했다.

박영민 기자 minpress@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