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2곳 중 1곳은 "中 알리·테무 활용한다"

1 day ago 2

제조·유통업계 중소기업 2곳 중 1곳은 알리나 테무 등 중국 e커머스를 활용할 계획이란 조사결과가 나왔다. 국내 시장점유율 확대를 위해서란 답변이 대다수를 이뤘다. 정책적으론 중국 e커머스 입점 업체를 대상으로 인증·검사를 강화해야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중국 e커머스 국내 진출 확대에 대한 중소기업·소상공인 의견 조사 결과'를 2일 발표했다. 지난달 17일부터 21일까지 중소기업(제조업·유통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다.

이번 조사에서 중국 e커머스를 ‘활용 중인 기업’은 29.7%, ‘활용 경험은 없으나 추후 활용 의사를 밝힌 기업’은 21.0%로 집계됐다. ‘활용 경험 및 향후 활용 계획도 없다’는 49.3%로 조사됐다.

활용 방식에 대해서는 ‘중국 이커머스에 입점해 국내 시장 점유율 확대’(65.2%), ‘중국 이커머스에서 제품 구매 후 국내 재판매(병행수입)’(11.2%), ‘중국 이커머스를 통해 원자재 또는 부품 조달’(6.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중국 e커머스의 국내 진출에 대해선 ‘긍정적’이라는 응답이 24.7%로 ‘부정적’(15.3%)보다 높았다. ‘변화없음’은 60.0%로 나타났다. 긍정적 영향을 미친 이유로는 ‘국내외 온라인 판매 채널 다변화’(47.3%)가 가장 많았다. ‘기존 유통망 대비 입점 수수료 절감’(16.2%), ‘비용 절감(원자재 조달, 물류 배송비 등)’(14.9%)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부정적 영향을 미친 이유는 ‘자사 제품 가격 경쟁력 저하로 소비자 이탈’(45.7%), ‘국내 기업의 브랜드 가치 하락(가품 등)’(19.6%), ‘무관세/무인증 등 역차별 피해’(17.4%), ‘마케팅 비용 증가’(8.7%) 등의 순이었다. 향후 전망에 대해서는 ‘긍정적’ 응답은 28.3%로 ‘부정적’(26.0%)보다 높았으며, ‘변화없음’은 45.7%로 나타났다.

중국 e커머스의 국내 진출에 대한 최우선 지원 정책으로는 ‘중국 이커머스 입점 업체 대상 인증/검사 강화’(34.7%), ‘국내 이커머스 입점 기업 지원(수수료 인하 등)’(32.3%), ‘해외 직구 제품의 통관 및 품질 검사 강화’(26.3%), ‘특허/상표권 등 지식재산권 침해 제재 강화’(23.0%), ‘물류 경쟁력 강화(물류비 지원 등)’(21.7%) 순으로 집계됐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중국 e커머스가 중소기업에 새로운 위기이면서 기회가 되고 있다”며 “영향력이 확대될 때를 대비해 중소기업 피해 최소화를 위해 품질 인증과 검사, 지적재산권 보호를 선제적으로 강화하고, 입점 지원과 물류비 지원 등 정책적 지원도 확대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진우 기자 jwp@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