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단지 아파트 ‘메가시티’ 강세 지속… 올 상반기 2000가구 이상 분양 8곳

22 hours ago 2

지난해 전국 규모별 아파트값 상승률 추이

지난해 전국 규모별 아파트값 상승률 추이
올해 상반기 2000가구 이상 규모의 이른바 ‘메가시티’ 아파트 분양이 전국에서 8곳 예정되거나 진행된 가운데, 지난해에도 같은 유형의 단지들이 높은 청약 경쟁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해 2000가구 이상 규모의 아파트는 총 10개 단지에서 6907가구(특별공급 제외)가 공급됐으며 1순위 청약 접수 건수는 24만1076건으로 집계됐다. 평균 경쟁률은 34.90대 1로 같은 해 2000가구 미만 단지들의 평균 경쟁률인 10.84대 1보다 약 3배 높았다.

대단지 아파트는 규모를 바탕으로 단지 내 커뮤니티와 조경 등 기반 시설을 갖추기 용이하면서 유지관리비도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입주민 수가 많아 관리비 분담이 가능하고 단지 내 상가나 학교 등 생활 인프라 유치도 쉬운 편이다.

부동산 가격 상승률에서도 대규모 단지는 상대적인 강세를 보였다. 지난해 기준 1500가구 이상 단지의 평균 가격 상승률은 6.83퍼센트였다. 같은 기간 1000가구 이상 1500가구 미만 단지는 3.96퍼센트, 700가구 이상 1000가구 미만은 3.54퍼센트, 500가구 이상 700가구 미만은 2.74퍼센트를 기록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에 따르면 경기 안양시에 위치한 2739가구 규모 ‘평촌엘프라우드’ 전용 59㎡는 올해 2월 9억5000만 원에 거래됐다. 분양가 대비 약 3억 원의 차익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 계양구 ‘힐스테이트자이계양’은 총 2371가구 규모로 지난해 전용 84㎡가 7억8000만 원에 거래되며 3억 원 이상 높은 가격에 매매가 이뤄졌다.

올해 신규 분양 단지들도 청약 수요가 집중되고 있다. 지난 1월 전북 전주에 공급된 ‘더샵라비온드’는 총 2226가구 규모다. 특별공급을 제외한 836가구 모집에 2만1816명이 청약해 평균 경쟁률 26.10대 1을 기록했다. 4월 1순위 청약을 진행한 경남 창원의 ‘창원 메가시티 자이앤위브’는 2638가구 규모로 3544건의 청약 통장이 접수됐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2000가구 이상 대단지는 단지 내에서 교육, 여가, 생활편의시설을 함께 구성할 수 있어 입주 후 만족도가 높다”며 “입주민 규모가 크기 때문에 주변 인프라 확충도 빨라지고, 지역 내 랜드마크로 자리잡는 사례도 많다”고 말했다.올해 상반기 분양 예정인 대단지들도 관심을 받고 있다. 대우건설은 경기 용인시 처인구 일대에서 ‘용인 푸르지오 원클러스터 2·3단지’를 4월 분양할 예정이다. 전용 59㎡, 84㎡ 중심으로 총 2043가구 규모다. 기존 1681가구 규모 1단지를 포함하면 전체 3724가구 규모의 브랜드 타운이 조성된다. 단지는 국도 45호선과 국지도 57호선과 인접해 있고 각각 삼성전자 첨단 시스템 반도체 국가산단과 SK하이닉스 반도체 클러스터로 연결되는 교통망이다.

같은 달 인천 부평구 산곡동에서는 ‘해링턴 스퀘어 산곡역’이 분양될 예정이다. 총 2475가구 규모로 이 중 전용 39~96㎡ 1248가구가 일반 분양 물량이다. 시공은 효성중공업과 진흥기업이 맡았으며 수도권지하철 7호선 산곡역에 인접하고 산곡초등학교와 병설유치원이 단지 인근에 있다.

전문가들은 대단지 아파트가 갖는 설계 및 관리 측면의 장점과 함께 청약 및 시세 경쟁력 측면에서도 메리트가 있다고 보고 있다. 분양시장이 위축된 상황에서도 이 같은 대단지 위주의 선호 현상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황소영 기자 fangso@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