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도쿄 도심의 수십억원대 고급 아파트에 사람이 살지 않는 ‘빈집’이 빠르게 늘고 있다. 중국인 투자자들이 투기 목적으로 대거 매입하면서 실제 거주하진 않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24일(현지시간) 일본 경제매체 다이아몬드 온라인에 따르면, 최근 도쿄 중심부의 고급 아파트 단지에 공실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밤이 되면 불이 꺼진 채 관리비만 내는 ‘유령 아파트’가 속출하는 것.
특히 일부 신축 단지는 입주율이 50%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치요다구의 신축 분양 아파트는 대부분 수억 엔(약 수십억 원) 대에 형성돼 있지만, 치요다구와 미나토구 등 주요 지역의 공실률은 이미 10%를 넘어선 상황이다.
치요다구 관계자는 “누가 사는지도 모를 외국인 명의의 아파트가 늘어나면서 관련 민원이 새롭게 제기되고 있다”며 “이건 단순한 생활 매너 문제가 아니라 지역 공동체 붕괴로 이어질 수 있는 심각한 문제”라고 우려했다.
문제는 이 같은 ‘공실 아파트’ 상당수가 순수 투자용이라는 점이다. 최근 몇년 간 일본의 초저금리 기조와 엔화 약세로 인해 일본 부동산은 외국인들에게 ‘안전자산’으로 각광받았고, 그 중 중국 자본의 유입이 특히 두드러진다.
한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5억 엔(약 46억 원)짜리 아파트를 여러 채 현금으로 한꺼번에 사들이는 중국인 고객이 있고, 아예 한 층이나 한 동 전체를 통째로 매입하는 사례도 있다”고 말했다.
이들은 대부분 임대를 주지 않고 공실 상태로 방치한다. 세입자를 들이면 향후 매각 절차가 복잡해지고 가격 협상에서도 불리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집값이 10%만 올라가도 수천만 엔의 차익을 얻을 수 있어, 관리비만 내며 빈집으로 두는 편이 더 이득이라는 계산이다.
치요다구의 한 거주자는 “이 아파트에 실제로 사는 사람은 30% 정도에 불과해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 구청 실태조사에서도 소유자의 약 70%가 비거주자로 확인됐다.
또한 일부 중국 투자자들은 웨이보나 샤오홍슈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일본 부동산을 홍보하거나 재판매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다이아몬드 온라인은 “이 같은 현상이 이어질 경우 상점가와 병원 등 생활 인프라의 수요가 줄어 도심 공동화가 가속화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 매체는 외국 자본의 과도한 부동산 투자로 인한 시장 왜곡을 지적하며 ▲외국인 부동산 거래 사전 신고제 도입(캐나다·뉴질랜드식) ▲단기 전매 시 양도차익세 강화(영국식) ▲소유자 정보 공개 및 관리조합 공유 ▲비거주 부동산 추가 과세(싱가포르식)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엄지성 이어 조규성·이한범도 포스텍 울렸다! 미트윌란, 노팅엄 원정서 3-2 승리…포스텍의 노팅엄, ‘패패무무패패’ 멸망 [유로파리그]](https://pimg.mk.co.kr/news/cms/202510/03/news-p.v1.20251003.f2964094c0e0447f84af28c5f48d0e9a_R.jp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