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들 수십억 아파트 쓸어담았는데…” 불 꺼진 ‘유령촌’ 도심 어디?

1 day ago 4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본 도쿄 도심에서 고급 아파트의 빈집 수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는 중국인 투자자들이 투기 목적으로 매입해 실제 거주하지 않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치요다구와 미나토구의 공실률이 이미 10%를 넘어선 가운데, 일부 신축 단지의 입주율은 50%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공실 아파트가 증가할 경우 도심 공동화 현상이 가속화될 수 있다는 경고가 제기되며, 외국인 부동산 거래에 대한 규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중국인 투자자들이 일본 도쿄 도심 수십억 원대 아파트를 대거 사들이면서 사람이 거주하지 않는 ‘빈집’이 늘고 있다고 일본 경제매체 ‘다이아몬드 온라인’이 24일 보도했다. [다이아몬드 온라인 캡처]

중국인 투자자들이 일본 도쿄 도심 수십억 원대 아파트를 대거 사들이면서 사람이 거주하지 않는 ‘빈집’이 늘고 있다고 일본 경제매체 ‘다이아몬드 온라인’이 24일 보도했다. [다이아몬드 온라인 캡처]

일본 도쿄 도심의 수십억원대 고급 아파트에 사람이 살지 않는 ‘빈집’이 빠르게 늘고 있다. 중국인 투자자들이 투기 목적으로 대거 매입하면서 실제 거주하진 않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24일(현지시간) 일본 경제매체 다이아몬드 온라인에 따르면, 최근 도쿄 중심부의 고급 아파트 단지에 공실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밤이 되면 불이 꺼진 채 관리비만 내는 ‘유령 아파트’가 속출하는 것.

특히 일부 신축 단지는 입주율이 50%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치요다구의 신축 분양 아파트는 대부분 수억 엔(약 수십억 원) 대에 형성돼 있지만, 치요다구와 미나토구 등 주요 지역의 공실률은 이미 10%를 넘어선 상황이다.

치요다구 관계자는 “누가 사는지도 모를 외국인 명의의 아파트가 늘어나면서 관련 민원이 새롭게 제기되고 있다”며 “이건 단순한 생활 매너 문제가 아니라 지역 공동체 붕괴로 이어질 수 있는 심각한 문제”라고 우려했다.

문제는 이 같은 ‘공실 아파트’ 상당수가 순수 투자용이라는 점이다. 최근 몇년 간 일본의 초저금리 기조와 엔화 약세로 인해 일본 부동산은 외국인들에게 ‘안전자산’으로 각광받았고, 그 중 중국 자본의 유입이 특히 두드러진다.

한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5억 엔(약 46억 원)짜리 아파트를 여러 채 현금으로 한꺼번에 사들이는 중국인 고객이 있고, 아예 한 층이나 한 동 전체를 통째로 매입하는 사례도 있다”고 말했다.

이들은 대부분 임대를 주지 않고 공실 상태로 방치한다. 세입자를 들이면 향후 매각 절차가 복잡해지고 가격 협상에서도 불리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집값이 10%만 올라가도 수천만 엔의 차익을 얻을 수 있어, 관리비만 내며 빈집으로 두는 편이 더 이득이라는 계산이다.

치요다구의 한 거주자는 “이 아파트에 실제로 사는 사람은 30% 정도에 불과해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 구청 실태조사에서도 소유자의 약 70%가 비거주자로 확인됐다.

또한 일부 중국 투자자들은 웨이보나 샤오홍슈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일본 부동산을 홍보하거나 재판매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다이아몬드 온라인은 “이 같은 현상이 이어질 경우 상점가와 병원 등 생활 인프라의 수요가 줄어 도심 공동화가 가속화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 매체는 외국 자본의 과도한 부동산 투자로 인한 시장 왜곡을 지적하며 ▲외국인 부동산 거래 사전 신고제 도입(캐나다·뉴질랜드식) ▲단기 전매 시 양도차익세 강화(영국식) ▲소유자 정보 공개 및 관리조합 공유 ▲비거주 부동산 추가 과세(싱가포르식)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기사 속 종목 이야기

  • 삼성물산

    028260, KOSPI

    209,000 + 1.46%
  • GS건설

    006360, KOSPI

    19,030 + 1.49%

주의사항 : 본 서비스는 AI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든 내용은 투자 권유 또는 주식거래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