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의 순간 오류

1 week ago 8

  • 죽음의 순간 오류는 죽음 직전의 후회가 인생 전체를 위한 지침이라는 오해임
  • 죽음의 순간에 느끼는 감정이나 생각이 대표성을 가지지 못함
  • 과거의 자신과 현재의 자신이 다름에도, 죽음의 순간의 자신이 마치 인생 전체를 통달했다고 여기는 오류임
  • 시대적 배경과 세대 차이 때문에 죽음의 순간의 조언이 오늘날 모두에게 통하지 않음
  • 삶을 더 잘 살고 싶다면 객관적 행복 연구와 자기 성찰을 통해 현실에 맞는 방향을 모색함

“Lord Byron on his Death-bed” by Joseph Denis Odevaere

주제 소개

  • 죽음의 순간 오류라는 개념을 제시하게 된 개인적인 동기와 배경임
  • Wait But Why의 글과 버번 한두 잔이 영감이 되어 이 주제를 다뤄보기로 결심함
  • 사람들이 죽기 직전에 후회하는 일반적인 이야기와 충고가 어디서 왔고, 그 의미를 고찰함

Deathbed Fallacy(죽음의 순간 오류)란?

  • 많은 사람들이 죽기 직전에 "가족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낼걸, 여행을 더 할걸, 덜 걱정할걸" 등과 같은 흔한 후회를 표함
  • 해당 후회 목록은 호스피스 간호사 Bronnie Ware가 죽음 직전 가장 흔한 후회로 정리한 것에서 유래함
  • 다음 다섯 가지가 대표적임:
    1. 자기 자신에게 충실하게 살 용기를 가졌으면 했음
    2. 너무 열심히 일하지 않았으면 했음
    3. 감정을 솔직히 표현할 용기가 있었으면 했음
    4. 친구들과 연락을 유지했으면 했음
    5. 자신에게 더 큰 행복을 허락했으면 했음
  • 이 충고들은 긍정적으로 들리지만, 문제가 내포되어 있음

The Fallacy(오류의 본질)

  • 죽음의 순간의 자신이 곧장 지금의 자신에게 최고의 조언자라는 착각에서 오류가 비롯됨
  • 인생을 단일한 연속된 자아가 아닌, 다수의 서로 다른 우선순위를 가진 사람들의 연속된 선으로 봐야 함
  • 그 선의 마지막에 위치한 죽음의 순간의 자신이 현명한 조언자라고 볼 수 있는지에는 세 가지 의문이 있음

Reason 1: 대표성 결여

  • 죽음의 순간은 삶 전체의 대표적 상태가 아니며, 그때의 후회나 감정이 가장 만족스럽고 의미 있는 삶의 방식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 죽음이 임박한 자신은 미래가 없음. 오직 현재와 과거의 기억만이 있음
  • 과거의 자신을 안다고 착각하지만, 실질적으로 잘 알지 못함
  • 그 순간의 자아 역시 특정 시간, 장소, 상황에만 묶여있음
  • 노년의 개인들이 표하는 후회에는 최근의 기억 왜곡도 크게 작용함. 즉, 노후의 직장 생활이나 친구와의 거리 등이 더욱 크게 느껴짐

Reason 2: 과거의 자아에 대한 오해

  • 나이가 들수록 자신이 과거를 더 잘 이해한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현재의 기준으로 과거 자신을 단순화해서 해석함
  • 과거의 선택이나 행동은 당시의 맥락에선 의미가 있었고 정당한 결단
  • 예를 들어, 청소년기에 남들과 어울리는 것이 중요했던 과거 자신이 현재의 기준에서 잘못된 것이라 생각될 수 있음. 그러나 당시는 인간관계 형성과 자아 성장에 중요한 시기였음
  • 현재의 자아가 과거의 자신을 불필요하게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음
  • 지금의 목표(예: 커리어, 돈, 영향력) 역시 죽음의 순간의 자신과는 달라도, 지금의 필요와 가치에 기반한 선택임

Reason 3: 세대별 차이와 환경 변화

  • 행복의 기준이 불변이라 생각할 수 있지만, 실상은 시대 환경에 따라 크게 달라짐
  • 과거 노년층은 남의 기대에 부응하며 사는 게 더 당연했기에 "자기 자신에게 충실하지 못했다"는 후회에 공감할 수 있음
  • 현대인은 오히려 지나치게 ‘자기다움’을 앞세워 공동체적 책임이나 균형을 잃을 위험도 있음
  • 친구들과의 관계 유지, 직업적 안정, 가족 형성 등 환경 자체가 완전히 다름
  • 50년 전의 데이터나 조언을 오늘날 20대에게 적용하기에는 상황적 간극이 큼

Who is most guilty of this fallacy?(누가 이 오류에 가장 빠지기 쉬운가)

  • 인생의 의미와 목적을 깨달았다고 느끼는 사람들은 대체로 Maslow의 욕구 단계 상위에 위치
  • 이들은 이미 충분한 자원, 시간, 자율성이 확보된 상태에서 삶의 본질을 고민할 여유가 있음
  • 그럴수록 과거의 노력과 성취를 폄하하고 현재의 깨달음을 강조하게 되는 경향이 있음
  • 반대로, 너무 가볍고 대책 없이 자유로운 삶을 추구하는 사람들은 현실적 기반이 부족해 실패와 좌절을 경험하기 쉬움
  • 이미 많은 것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만약 처음부터 성공, 노력, 성취를 추구하지 않았다면 지금만큼 행복할 것이라는 착각을 함

So what’s the alternative?(대안적 접근)

  • 죽음의 순간의 후회 목록도 나름 의미와 유용성이 있으나, 현실에선 주관적 후회에 온전히 책임을 전가하는 한계가 있음
  • 때때로 일시적인 불행과 고생이 장기적으로는 더 큰 행복이나 기회를 가져오는 기반임
  •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검증된 행복 연구(예: 안정적 수입, 의미 있는 관계, 경험 중심의 삶)가 더욱 실질적인 가이드임
  • 자신의 과거에서 느낀 행복 요소를 점검하고, 현재와 미래에도 의미있는 성취와 행복을 추구함이 중요함
  • “죽음의 순간의 나”가 생각할 의견보다, 지금 자신과 자신의 현실적 기반을 중시하고, 장기적으로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삶을 기획함

마무리

  • 이 글은 2016년에 작성된 뒤 완성되지 않았던 것을 최근에 대폭 수정 및 보완한 버전임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