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 ‘AI 글로벌 콘퍼런스’ 개최
엔비디아-AMD 등 해외 빅테크 포함… 국내선 LG-네이버-리벨리온 등 참가
권 “韓, AI 기술인재-산업 역량 갖춰”
유상임 장관 “AI 3대 강국 도약 노력”
제이슨 권 오픈AI 최고전략책임자(CSO)는 25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개최한 ‘AI 글로벌 콘퍼런스’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국가 AI 전략 방향에 대해 “우리만의 오픈AI를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할 필요는 없다”면서 “AI 생태계에는 컴퓨팅 인프라와 AI 모델, 응용이라는 3가지 층이 있는데 모든 층위를 한 국가가 개발하고 잘하려고 하기보다는 각국이 강점이 있는 분야에서 비교 우위를 살려 성장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이날 콘퍼런스는 AI 컴퓨팅 인프라와 AI 모델 경쟁력 확보 등 AI 혁신을 위한 정책 연장선에서 마련됐다. 오픈AI를 비롯해 엔비디아, AMD 등 AI 모델과 인프라에서 첨단 기술을 보유한 빅테크 기업과 LG AI연구원, 네이버, 리벨리온, 퓨리오사 등 국내 대표 AI 기업들이 참가해 AI 모델과 컴퓨팅 인프라 등에 대한 혁신 비전을 공유했다.
권 CSO는 각국의 언어와 문화에 맞는 AI로의 차별화를 강조했다. 그는 KDB산업은행, 카카오 등과 협업 중인 사례를 소개하면서 “AI는 언어를 기반으로 학습되는 기술이기 때문에 각 나라의 정체성과 밀접하게 연결된다. 오픈AI도 해외 진출 시 현지 파트너를 확보하는 것을 중요한 전략으로 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AI는 더 이상 하나의 제품이 아니라 인프라”라고 덧붙였다.이날 콘퍼런스에서는 소버린 AI의 중요성도 언급됐다. 키스 스트리어 AMD 수석 부사장은 “이제 AI는 주권의 문제”라며 “AI를 개발하고 배포할 수 있는 능력과 인프라를 결합해 거대 AI 모델을 훈련·추론할 수 있는 능력이 국가 번영과 안보에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AI 컴퓨팅 인프라와 AI 모델의 시너지, 한계를 뛰어넘다’라는 주제로 진행된 전문가 패널 토의에서 오혜연 KAIST 전산학부 교수를 비롯한 참석자들은 기업에서의 경험을 토대로 AI 컴퓨팅 인프라 확충 및 효율적인 AI 모델 개발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했다.
정소영 엔비디아코리아 대표는 “AI가 사람처럼 영역별 문제 해결 방식을 학습하고 사고하며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고품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컴퓨팅 자원이 쓰이는 단계가 됐다”며 AI 모델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고성능 컴퓨팅 자원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과기정통부는 국가 AI 역량 강화를 위해 GPU를 신속하게 확충하고 글로벌 톱티어 AI 모델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를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AI 컴퓨팅 인프라는 AI의 뼈와 근육이고, AI 모델은 두뇌”라며 “강력한 컴퓨팅 인프라와 고도화된 AI 모델이 유기적으로 결합한 혁신을 통해 우리나라가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남혜정 기자 namduck2@donga.com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