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 최대의 명절 한가위가 다가오는 가운데 명절마다 소비자들이 제수용품 관련 피해를 대거 보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올해 들어서도 이미 1000여건 이상의 피해가 접수됐지만, 피해 구제율은 5%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이 한국소비자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2023~2025년 8월) 명절 기간 소비자원에 제수용품 관련 상담이 총 5644건 접수됐다. 이 가운데 실제 피해구제로 이어진 건수는 270건(4.8%)에 그쳤다.
지난해의 경우 피해상담 신청은 2655건에 달했으나, 구제 건수는 130건(4.9%)뿐이었다. 올해 들어서도 8월까지 소비자원에 접수된 피해 상담은 1176건에 달했으나, 이 중 48건(4.1%)에 대해서만 실제로 피해구제가 이뤄졌다.
상담 유형별로 보면 품질 또는 A/S 불만이 2435건(43%)으로 가장 많았다. 이밖에 계약 불이행(39%)과 허위·과장 광고(5.8%) 등이 뒤를 이었다.
품목별로는 과일류(2370건)가 가장 많았고, 이어 고기류(1613건), 어패류(496건), 쌀(448건) 순으로 나타났다.
명절이라는 특수성을 노린 소규모 업체나 온라인 판매업체가 많아 피해구제가 쉽지 않을뿐더러, 최근 농축수산물·가공식품·외식 등 먹거리 물가가 높게 오르고 있어 피해 발생 시 소비자 부담이 더욱 가중될 수 있단 우려가 나온다.
추경호 의원은 “명절을 앞두고 제수용품 피해 사례가 매년 반복되고 있다”며 “가격 안정뿐만 아니라 소비자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