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바이오·의료 실험실 연구 전 과정을 인공지능(AI) 로봇으로 대체하는 방안을 장기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바이오 의료 데이터와 관련된 전주기 연구개발(R&D)을 지원하는 가칭 '바이오 데이터 지원 및 육성에 관한 법률'도 제정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0일 제42회 생명공학정책심의회를 열어 이런 내용을 담은 'AI 바이오 확산 전략'과 '합성생물학 육성 실행 전략' 두 가지 안을 심의해 확정했다.
AI 바이오 확산 전략은 로봇으로 바이오 실험 설계→실행→분석 전 과정을 자동화하는 것이 골자다.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전임상(동물 실험) 폐지 방침을 밝히는 등 신약 효능 확인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AI가 대체하고 있는 글로벌 동향을 반영한 것이다. 이를 위해 슈퍼컴퓨터 6호기 구축을 앞당기고 바이오 R&D 전용 GPU 3000개를 확보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보건복지부와 협의해 바이오 데이터 분양 절차도 간소화하기로 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와는 바이오 데이터 비식별 처리기술을 확보할 방침이다. 바이오 데이터 생산과 기탁·등록, 관계기업 및 기관 공유 및 연계, 활용 등 전 주기에 걸쳐 범부처의 체계적 지원을 명시한 '바이오데이터 지원 육성법' 제정도 추진한다.
지난 22일 세계 처음으로 제정한 합성생물학 육성법 관련 후속 절차도 마련했다. 이 법은 내년 4월 23일부터 시행된다. 합성생물학은 유전자 일부를 교정하거나 치환하는 유전공학 다음 단계의 미래 기술이다. 유전자를 최적 조합해 '빨간 호랑이' 등 세상에 없던 생명체를 이론적으로 탄생시킬 수 있다.
정부는 합성생물학 관련 대학원 석·박사 과정을 새로 개설하고 바이오 기업들의 수요에 기반한 취업 연계 학위 과정을 새로 만드는 데 올해부터 5년간 310억원을 투입한다. 유전자·단백질 등의 설계와 제작, 시험, 학습 전 단계를 지원하는 AI 인프라인 '공공 바이오파운드리' 관련 시설 및 인프라 구축에 올해부터 2033년까지 7000억여 원을 투입한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AI는 장기간 고비용이 소모됐던 바이오 연구 혁신을 가속화할 핵심 기술"이라며 "관계부처와 필요한 예산을 적시 확보하고 관련 법제도 정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