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정부가 홋카이도를 첨단 반도체 생산 중심지로 육성하기 위해 수십억 달러를 투자하며, 관광·농업 중심 지역을 산업 거점으로 전환 중
- 핵심 기업 Rapidus는 정부와 도요타, 소프트뱅크, 소니 등의 지원을 받아 2나노미터(2nm) 트랜지스터 시제품 생산에 성공, IBM과의 협력이 기술 확보에 기여
- 그러나 대규모 자금 부족과 생산 경험 미비, 고객 확보 어려움 등으로 실질적 양산 능력에 대한 회의론 존재
- 일본은 2020년 이후 반도체 및 AI 산업에 270억 달러 이상을 투입하며, TSMC·Micron·Samsung 등 글로벌 기업의 현지 투자를 유도
- 정부와 Rapidus의 시도는 일본 반도체 산업 부활과 기술 자립·안보 강화를 위한 최대 규모의 산업적 도전으로 평가됨
홋카이도의 산업 전환 시도
- 홋카이도는 일본 낙농업 생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농업 중심 지역으로, 관광 산업이 주요 경제 기반
- 최근에는 공장·연구소·대학이 새로 건설되며 기술 중심 산업지로 변화 중
- 일본 정부는 이 지역을 ‘홋카이도 밸리(Hokkaido Valley)’ 로 육성해 세계 반도체 공급 경쟁에 참여하려 함
- 성공 시 일본은 6,000억 달러 규모의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 새로운 경쟁자로 부상 가능
Rapidus의 역할과 기술 진전
- Rapidus는 일본 정부와 도요타·소프트뱅크·소니 등 대기업이 출자한 신생 반도체 기업
- IBM과의 협력으로 일본 최초의 첨단 반도체 생산시설(팹)을 홋카이도 치토세(Chitose) 에 건설 중
- 정부는 120억 달러를 투자했으며, 공장은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잔디로 덮인 설계를 채택
- 네덜란드 ASML의 EUV(극자외선 리소그래피) 장비 도입으로 2nm 트랜지스터 시제품 생산에 성공
- 이는 TSMC·삼성전자만이 달성한 수준의 기술로, 일본 내 최초 사례
- Rapidus는 2027년까지 2nm 칩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맞춤형 칩을 빠르게 생산하는 속도를 경쟁력으로 제시
회의론과 과제
-
Asean+3 거시경제연구소는 Rapidus의 자금 조달이 필요액 5조 엔(약 318억 달러) 에 미치지 못한다고 평가
-
CSIS는 Rapidus가 첨단 칩 제조 경험이 없으며, TSMC나 삼성으로부터 필요한 노하우를 확보하지 못했다고 지적
- 기존 글로벌 고객 기반이 부족해 시장 진입 장벽이 높다는 점도 문제로 언급
- 일본 내 반도체 인력 부족(약 4만 명) 이 예상되며, Rapidus는 홋카이도대학 등과 협력해 인력 양성 중
- 외국인 인력 의존이 불가피하지만, 국내 고용 여론은 낮은 편
일본의 반도체 부활 전략
- 일본 정부는 2020년부터 2024년 초까지 270억 달러를 반도체 산업에 투입
- 이는 GDP 대비로 보면 미국의 CHIPS Act보다 큰 규모
- 2024년 말에는 AI 및 반도체 산업 지원을 위한 650억 달러 패키지를 발표
- 1980년대 미국과의 무역 마찰 이후 일본 반도체 산업은 급격히 쇠퇴, 현재 세계 시장 점유율은 10% 수준
-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협력해 산업 부흥을 추진 중이며, Rapidus는 그 상징적 프로젝트로 평가
생태계 확장과 글로벌 협력
- 일본은 TSMC의 구마모토 공장(12~28nm) 을 비롯해 전국적으로 반도체 생태계를 확장 중
- TSMC는 2027년 가동 예정인 두 번째 공장을 건설 중
-
Kioxia·Toshiba·ROHM 등 일본 기업도 정부 지원을 받아 생산시설을 확충
-
Micron은 히로시마 공장 확장을 위해 36억 달러 보조금을 받았으며, Samsung은 요코하마에 R&D 센터를 설립
- 홋카이도 치토세에는 ASML·Tokyo Electron이 사무소를 개설, Rapidus의 생산시설을 중심으로 글로벌 반도체 생태계 형성이 진행 중
국가 전략과 산업적 의미
- AI 확산과 자동차 산업의 공급망 안정 요구로 반도체 수요 급증
- 일본은 국내 생산 기반 확보를 국가 안보 차원에서 중시, 중국·대만 간 긴장 속에 공급망 리스크 완화를 목표로 함
- Rapidus는 “빠른 맞춤형 칩 생산 속도”를 강점으로 내세우며, 글로벌 경쟁에서 차별화된 위치를 노림
- 정부의 대규모 투자는 일본이 기술 자립과 산업 부흥을 동시에 도모하는 고위험·고보상 전략으로 평가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