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금융 족쇄' RWA 개선…IB 숨통 트이나

1 day ago 2

 Getty Images Bank

Getty Images Bank

금융당국이 위험가중자산(RWA) 제도 개선에 착수하면서 은행지주 산하의 투자은행(IB)들의 자금 수급에 숨통이 트일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인수금융 족쇄' RWA 개선…IB 숨통 트이나

1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최근 ‘RWA 제도 개선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관련 논의를 본격화했다. TF에서는 RWA 가중치 적용 방식을 유연화하는 내용을 중점 논의할 예정이다.

지난 9일에는 은행지주사 산하 증권사들의 연결 기준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 규제를 개선하겠다는 방침도 발표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발표 내용을 포함해 전반적인 RWA 제도 개선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세계적으로 바젤Ⅲ 규제가 도입되면서 국내에서도 은행지주 단위의 자본건전성 관리가 강화돼 왔다. 금융당국은 은행지주 산하 금융회사들이 연결 기준 보통주자본비율(CET1)을 12% 이상 유지하도록 권고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밸류업 정책에 따라 CET1을 13%대 수준으로 방어해야 하는 상황까지 겹쳤다. CET1은 RWA가 높아질수록 낮아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RWA 가중치가 높은 사모펀드(PEF) 출자나 인수금융 등 IB성 거래에는 제동이 걸릴 수 밖에 없다.

IB의 주요 수익원인 인수금융은 딜 구조에 따라 RWA 부담이 크게 달라진다. PEF가 회사를 인수할 때 특수목적법인(SPC)을 세우는 경우가 많은데, 차주가 일반 기업이 아닌 SPC일 경우 신용등급이 없어 RWA 가중치가 150~200%까지 높아질 수 있다. 비상장사 인수 때도 신용등급이 없거나 낮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RWA 부담이 크다. 이에 따라 인수금융 수요가 많은 중소형PEF나 미들마켓(중견기업 인수 시장)에는 실질적인 자금 공급이 원활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한 시중은행 인수금융 담당자는 “PEF에 출자하면 인수금융에 참여할 기회도 종종 생기지만, SPC나 비상장사를 대상으로 한 구조화 딜은 RWA가 높아 지주사의 자본비율 관리 차원에서 제약이 많은 상황”이라며 “결국 대기업 계열사 인수처럼 리스크가 낮은 딜 위주로 선별적으로 참여할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환율 상승도 부담 요인이다. 외화 기반 인수금융 거래는 환율이 오를수록 원화 환산 기준 RWA가 자동으로 늘어난다. 같은 금액의 대출이라도 환율에 따라 자산 규모가 커지기 때문이다. 최근 환율 상승세로 인해 2분기 투자는 더욱 위축되는 분위기다.

RWA 제도 개선이 현실화되면 은행 계열 보험사, 캐피탈 등 기관 투자자(LP)들의 PEF 출자 여력도 확대될 수 있을 전망이다. 그간 금융지주 계열 LP들은 출자금이 RWA에 과도하게 반영돼 자본비율 부담이 컸다. 출자를 하고 싶어도 지주사로부터 “출자 승인 안 난다”, “RWA 한도 다 찼다” 등의 제한을 받았던 이유다.

일각에서는 외국계 금융사처럼 리스크를 구조화해 외부로 이전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기반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유럽계 은행들은 대출자산에서 손실 가능성이 큰 일부 구간만 떼어내 파생상품이나 트랜치 형태로 투자자에게 넘기는 방식으로 RWA를 줄이는 전략을 활용하고 있다. 자산은 그대로 보유하면서도 규제상 위험자산을 줄일 수 있는 구조다. 국내에서도 건의돼 왔지만 복잡한 구조의 자금 집행에 대한 보수적인 시각 때문에 구체화되지는 않고 있다.

한 증권사 IB 담당자는 “지금은 수치 조정보다 구조 자체를 유연화하는 방식이 더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최다은 기자 max@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