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부터 AI 강의까지…서울 '구독대학' 개강

19 hours ago 2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등 주요 대학에서 개설된 교양 강좌를 일반 시민이 무료로 수강할 수 있게 된다. 대학생처럼 캠퍼스에서 열리는 교수들의 강연을 들으며 궁금한 사항을 직접 물어보고 토론할 수 있다는 게 최대 장점이다.

서울시평생교육진흥원은 시민이 듣고 싶은 강의를 원하는 대학에서 자유롭게 수강할 수 있는 맞춤형 평생교육 시범사업인 ‘구독대학’의 수강생을 7월부터 모집한다고 1일 밝혔다. 시가 이번에 처음 선보인 구독대학은 인문교양, 문화예술, 인공지능(AI)·디지털 등 주제의 콘텐츠를 시민이 골라 듣는 구독형 학습모델로, 직업훈련 중심의 기존 대학 연계 프로그램과 차별화된다는 설명이다.

구독대학에 참여하는 대학은 건국대, 경희대, 고려대, 서울대, 성균관대, 연세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국성서대, 홍익대 등 총 10곳이다. 이들 대학은 7월 중순부터 총 15개 강좌를 순차적으로 개설해 각 캠퍼스 강의실에서 교수가 직접 강연한다. 최대 수강 인원은 강좌별로 20~50명이다.

예를 들어 연세대는 시스템 반도체 분야 교수가 일상 속 디지털 기술을 ‘반도체 뉴스’라는 키워드로 풀어낸다. 홍익대는 미술·디자인 전공 교수가 레오나르도 다빈치, 빈센트 반 고흐. 파블로 피카소 등 세계적인 화가들의 시선을 따라가며 실습을 병행하는 체험형 수업을 제공한다. 학과별 전공 교수들이 강의하며 수강생과 질의응답을 주고받는 방식이어서 깊이 있는 학습 기회를 누릴 수 있다.

구독대학에는 기존 중장년층 직업 역량 강화 프로그램인 ‘서울마이칼리지’ 사업에 참여해온 기존 17개 대학 외에 10개 대학이 추가되면서 평생교육 협력 범위가 확대됐다는 평가다.

수강 신청은 1일부터 서울시평생학습포털 내 ‘서울시민대학→서울마이칼리지’ 메뉴에서 할 수 있다. 강의 일정은 대학별로 다르지만 대체로 7~11월 운영된다. 모든 강좌는 서울시민(생활권자 포함)이라면 전액 무료다.

진흥원은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시민과 대학이 함께 만드는 평생학습 생태계를 조성하고, 시민 제안형 강좌 및 캠퍼스 체험 연계 프로그램 등으로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한용진 서울시평생교육진흥원장은 “구독대학은 시민이 배우고 싶은 주제를 스스로 선택하고, 대학은 배움의 길을 열어주는 새로운 모델”라며 “시민과 함께 서울이라는 도시 전체가 캠퍼스가 되는 시대를 열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