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진짜 도시가 됐다' 환호…'일론 머스크 도시' 탄생

1 day ago 2

3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주 캐머런 카운티 텍사스주 보카치카 마을 근처에 스페이스X 창립자 엘론 머스크의 동상이 놓여있다. 사진=AP

3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주 캐머런 카운티 텍사스주 보카치카 마을 근처에 스페이스X 창립자 엘론 머스크의 동상이 놓여있다. 사진=AP

미국 텍사스주 최남단에 위치한 도시의 이름이 '스타베이스'(Starbase)' 바뀐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우주 기업 스페이스X의 기지가 위치한 지역이다. 기업 자체 도시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미국 텍사스주 최남단에 '스타베이스'(Starbase)라는 이름의 도시가 들어선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우주 기업 스페이스X의 기지가 위치한 곳으로, 자체 도시가 설립되는 것이다.

3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텍사스주 캐머런 카운티 주민들은 이날 주민투표에서 찬성 216표, 반대 6표로 지역명을 스타베이스로 바꾸기로 결정했다. 투표권이 있는 주민 283명 대부분이 스페이스X 직원들이다. 스타베이스는 미·멕시코 국경 근처 해안가에 위치한 면적 4.6㎢의 작은 마을이다.

스페이스X 직원들은 지난해 말 이 지역을 새 지방자치단체로 지정해 달라는 청원을 카운티 법원에 제출했다. 카운티 판사가 선거 결과를 인정하면 스타베이스는 공식적으로 텍사스의 자치단체가 된다.

투표 결과에 머스크는 엑스(X·옛 트위터)에 "텍사스주, 스타베이스가 이제 진짜 도시가 됐다!"라며 환호했다. 그는 수년 전부터 스타베이스를 독립 도시로 만들고 싶다는 뜻을 전해왔다.

도시가 설립된다 해도 머스크는 원하는 대로 규정을 채택할 자유를 가질 순 없다. 다만 도시 개발 계획은 직접 정할 수 있는 독점적인 권한을 갖게 된다고 블룸버그는 설명했다. 새로 들어설 도시 위원회는 지역 용도 설정, 건설 프로젝트 등을 둘러싼 권한을 가진다.

일각에서는 공식적인 기업 도시가 조성됨으로써 머스크가 이 지역에 대한 개인적인 통제권을 확대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고 AP통신은 전했다. 스페이스X 우주선 발사를 위해 주변의 인기 있는 해변과 주립공원을 폐쇄하는 등 권한을 남용할 수 있다는 뜻이다.

캐머런 카운티는 X에 "도시가 되는 것은 우주에서 인류의 미래를 만드는 사람들을 위한 최고의 공동체를 계속해서 만들어가는 데 도움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지역 주민들은 이와 함께 시장과 시의원 2명 등 도시의 첫 선출직 공무원 3명을 승인했다. 두 전직 혹은 현직 스페이스X 직원들로, 경쟁자 없이 출마해 당선됐다.

박수빈 한경닷컴 기자 waterbean@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