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국가 폭력범죄 공소시효 배제법 재발의할 것”

19 hours ago 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제주 4·3 사건 희생자 추념일에 맞춰 국가 폭력범죄 시효 배제법을 다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국가 폭력범죄에 대한 공소시효 배제가 필요하며, 민주당은 거부당한 법안을 재의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국가 범죄에 대한 책임을 묻는 법안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며, 이를 위해 계속해서 노력할 것임을 다짐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尹, 12·3 계엄으로 1만명 학살하려 해”

3일 오전 제주시 봉개동 제주4·3평화공원에서 열린 제77주년 제주4·3 희생자 추념식 직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취재진을 만나 질의응답하고 있다.[사진 출처 = 연합뉴스]

3일 오전 제주시 봉개동 제주4·3평화공원에서 열린 제77주년 제주4·3 희생자 추념식 직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취재진을 만나 질의응답하고 있다.[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77주년 제주 4·3 사건 희생자 추념일을 맞아 ‘국가 폭력범죄 시효 배제법’을 다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3일 오전 제주시 4·3평화공원에서 열린 ‘제77주년 4·3 희생자 추념식’을 마친 뒤 기자들을 만나 “국가 폭력범죄에 대한 공소시효 배제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저와 민주당은 대통령 권한대행에 의해 거부된 국가 폭력범죄 시효 배제에 관한 법을 재의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제주 4·3 사건은) 대한민국 정부 최초의 계엄령이었고, 제주도민 10분의 1에 해당하는 3만명에 가까운 사람들이 아무런 잘못도 저지르지 않은 채 총칼에 의해 죽어갔다”며 “이런 국가 폭력은 어떤 경우에도 용서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에 대한 책임 역시 완벽하게 묻지 못했기 때문에 오늘날 다시 계엄에 의한 군정을 꿈꾸는 황당무계한 일이 일어났다”며 “12·3 친위 군사쿠데타 계획에는 5000명에서 1만명의 국민을 학살하려던 계획이 들어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다시는 이런 일이 벌어지지 않도록 그(윤석열 대통령)가 살아 있는 한 국가폭력 범죄에 대해선 책임 묻는 형사처벌하는 법안이 필요하다”며 “(국가범죄 시효 배제법이) 내란동조 세력인 국민의힘에 의해 거부된다면 그 후에라도 반드시 재발의해서 통과시키도록 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국회는 지난해 12월 민주당이 당론으로 추진한 ‘반인권적 국가범죄 시효 등에 관한 특례법 제정안(국가범죄 시효 배제법)’을 본회의에서 통과시켰다.

당시 대통령 권한대행이었던 최상목 경제부총리는 국가범죄 시효 배제법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했다. 최 부총리는 “적법하게 직무를 수행한 공무원, 나아가 공무원의 유족까지 무기한으로 민사소송과 형사고소·고발에 노출될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