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본사회’ 첫 대선공약 발표
‘한국형 챗GPT’ 무료 활용 제시
전문가 “설비 등 구체안 제시해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전 대표가 14일 대선 첫 공약으로 국가 주도의 100조 원대 규모의 인공지능(AI) 산업 육성책을 내세운 건 경제 성장을 대선 공약 전면에 내세우는 우클릭 행보로 풀이된다.이 전 대표 측은 대선 이후 차기 대통령 임기 동안 AI 산업에 100조 원대를 투자한다는 목표다. 이 전 대표 캠프 핵심 관계자는 “현 정부 목표가 AI 투자 기금을 65조 원으로 끌어올리겠다는 것인데 그보다 더 규모를 키운다는 것”이라며 “국민, 기업 등이 투자에 참여하는 국민펀드를 활용하면 임기 동안 100조 원은 충분히 가능할 것”이라고 했다.
이 전 대표는 정부의 주도적 역할에 방점을 뒀다. 그는 “유명무실했던 대통령 직속 ‘국가인공지능위원회’를 기술자와 연구자, 기업, 정부의 협력을 대통령인 위원장이 직접 살피는 내실 있는 기구로 재편하겠다”고 했다. 또 국가 AI 데이터 집적 클러스터를 만들고 협력국 간 공용으로 기술을 개발할 수 있도록 글로벌 AI 공동투자기금을 조성하겠다고 했다.
이 전 대표는 “기업이 제대로 투자받기도 전에 불합리한 AI 규제로 위축된 바는 없는지 면밀히 점검해야 한다”며 관련 산업 규제 완화도 약속했다. 이와 함께 “AI로 생산성은 높아지고 노동시간이 줄어들면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이 가능한 AI 시대’가 열릴 것”이라며 “AI로 금융·건강·식량·재난 리스크를 분석해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 ‘AI 기본사회’를 만들겠다”고 했다. 전 국민이 고성능 AI를 무료로 활용할 수 있는 ‘한국형 챗GPT’를 추진하겠다고도 했다.이 전 대표는 이날 서울 강남구에 있는 AI 반도체 스타트업인 ‘퓨리오사AI’를 방문해서도 “국가 공동체가 어떤 역할을 통해 AI 사회에 대비할지 살펴봐야 할 것 같다”며 “대개 국민은 인공지능 분야에서 (한국이) 계속 뒤처진다고 걱정하는데 퓨리오사AI는 그렇지 않다는 희망을 보여주는 것 같다”고 했다.
다만 전문가들 사이에선 구체적인 방안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최병호 고려대 인공지능연구소 교수는 “투자 금액만 제시할 게 아니라 설비 마련 등 각 분야에서 어떻게 경쟁력을 확보할지 플랜을 제시해야 한다”고 했다.
국민의힘 대선 후보 경선에 출마한 안철수 의원은 “(이 전 대표가) 신경망처리장치(NPU) 개발을 지원하겠다면서 정작 (반도체 산업 종사자에 대한) 52시간 노동시간 특례는 반대한다”며 “제발 모르면 좀 가만히 계셔라”고 비판했다.안규영 기자 kyu0@donga.com
조응형 기자 yesbro@donga.com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