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식이 3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국제사회의 긴장감이 최고조에 달하고 있다. 미국의 경제·안보 이익을 노린 트럼프의 무차별 압박에 각국엔 비상이 걸렸다. 미국의 오랜 우방이자 세계 11위 경제 대국인 캐나다가 가장 먼저 유탄을 맞았다. 캐나다산 상품에 25%의 관세를 매기겠다는 트럼프의 예고에 쥐스탱 트뤼도 총리는 그를 찾아가 정치적으로 해결하려 했지만 면전에서 “캐나다가 미국의 51번째 주(州)가 되지 그러느냐”는 조롱만 들었다. 트럼프의 위협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 트뤼도 총리는 결국 사임을 발표했다. 경제 실정 등으로 지지율이 추락한 상태에서 트럼프의 공격이 결정타가 됐다는 평가다.
트럼프는 경제적 패권 추구를 넘어 그동안 ‘불가침의 영역’으로 여겨온 영토와 주권에까지 노골적으로 야욕을 드러내고 있다. 멕시코만 이름을 ‘미국만’으로 바꾸겠다고 하고, 덴마크령 그린란드와 파나마운하에 대해선 소유 의사까지 밝혔다. “임기 첫날만은 독재자가 되겠다”고 공언하기도 했다. 1기 때보다 더욱 거세진 트럼프 스톰에 리더십 공백 상태인 한국은 풍전등화의 처지에 내몰렸다.
비상계엄 사태 후 정치적 혼란이 지속되면서 한국 경제의 위기가 현실화하고 있다. 내수는 꽁꽁 얼어붙었고, 지난달 취업자가 5만 명 넘게 줄면서 ‘고용 한파’가 닥쳤다. 외환시장은 직접적인 타격을 받았다. 지난달 달러 대비 원화 가치는 5.3% 떨어져 20개 주요국 통화 가운데 러시아 루블화를 제외하고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다. 외국인들의 대규모 국채 매도 움직임도 가시화하고 있다. 지난달 외국인 투자자의 국고채 보유액은 약 3조원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환율 상승과 국채 매도는 정부 재정에 큰 부담이다.
올해 경제성장률이 대폭 낮아질 것이라는 경고음도 커지고 있다. 글로벌 투자은행(IB) 8곳은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소비 침체가 예상된다는 판단에 따라 올해 한국의 성장률을 당초 평균 1.8%에서 1.7%로 하향 조정했다. 씨티그룹과 JP모간은 각각 1.5%, 1.3%까지 낮췄다.
가장 걱정되는 것은 정치 혼란으로 국가신용등급마저 흔들릴 수 있다는 점이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무디스, 피치 등 글로벌 3대 신용평가사는 한국의 정치적 불확실성이 길어지면 국가신용등급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한목소리로 경고했다. 한 나라의 경제적 안정성과 신뢰도를 평가하는 지표인 국가신용등급이 하락하면 경제가 치명타를 입을 수밖에 없다. 당장 국채 발행 금리가 오르고 정부와 기업의 자금 조달 비용이 늘어난다. 환율이 급등하고 물가가 오르는 등 경제 전반의 연쇄 충격이 불가피하다. 게다가 한 번 내려간 신용등급은 다시 올리기 매우 어렵다. 1997년 외환위기 때 10계단 추락한 한국 국가신용등급은 18년이 지나서야 원래 수준으로 회복했다.
상황이 이런데도 여야 정치권은 극한 충돌을 지속하며 경제에 민폐만 끼치고 있다. 인공지능(AI)법, 임시투자세액공제 등 합의 처리하기로 한 44개 주요 법안 처리까지 올스톱됐다. 조기 대선을 염두에 둔 더불어민주당이 이재명 대표의 대선 공약으로 돌리기 위해 법안 처리 속도 조절에 나섰다는 얘기까지 나온다. 트럼프가 취임하면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인상부터 관세 인상,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폐지 등 닥쳐올 현안이 첩첩하다. 탄핵 정국으로 리더십이 취약해진 한국은 트럼프의 전방위 공세에 대한 대응과 전략 마련에 한계를 보일 수밖에 없는 처지다. 지금이라도 여야는 국익을 지키기 위해 초당적 협력에 나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