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엔 산사태 주의보…경북 산불 피해지역 또 위험하다

3 weeks ago 4

입력2025.04.18 15:00 수정2025.04.18 15:00

정부가 본격적인 여름철을 앞두고 산사태 등 자연재난에 대비한 선제 점검에 돌입했다. 지난달 전국적으로 확산됐던 대형 산불 피해지를 중심으로 집중호우 시 추가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관련 지역에 대한 전수조사와 대피 체계 보완이 추진된다.

행정안전부는 18일 이한경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주재로 ‘여름철 자연재난(태풍·호우) 사전대비 점검 TF’ 2차 회의를 개최하고, 산사태 위험지역 중심의 사전대책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회의에는 관계 부처와 17개 시도, 한국도로공사, 국립공원공단 등 주요 유관기관이 참여했다.

정부는 산불 피해지역을 중심으로 산사태 발생 우려가 높은 급경사지, 도로 비탈면, 산림 취약지역 등을 전수 점검하고 있다. 해당 지역은 국립산림과학원 분석에 따라 집중호우 시 토석류, 산비탈면 붕괴 등의 2차 피해 발생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각 기관은 위험도가 높은 지역을 선제적으로 발굴하고, 긴급진단을 통해 보강이 필요한 구역은 5월 15일 여름철 자연재난 대책기간 개시 이전까지 보완을 완료할 계획이다. 행안부, 국토교통부, 산림청 등이 역할을 나눠 공동 대응에 나선다.

대피조력자 지정하고 ‘일몰 전 대피’ 원칙 강화

정부는 산사태 피해를 줄이기 위해 지자체 주도의 주민 대피계획 수립도 병행하고 있다. 산림청이 제공하는 산사태 예측정보를 바탕으로 주의보 발령 단계부터 주민 대피를 유도하고, 자력 대피가 어려운 고령자나 장애인을 위한 ‘대피조력자’ 제도도 운영할 예정이다.

특히 야간 집중호우에 의한 주택매몰 피해를 줄이기 위해 ‘일몰 전 대피’ 원칙을 강조하고 있다. 이를 위해 주민 대상 사전 안내와 대피훈련도 함께 추진된다.

행안부는 산사태 예보체계를 3단계로 구분해 정보 제공의 실효성을 높이고, 고위험 지역에 대해서는 조기경보와 이재민 임시거주시설 운영 준비도 병행한다는 계획이다.

이한경 본부장은 “여름철 재난 대응의 핵심은 사전 대비와 빠른 대피에 있다”며 “국민들께서도 이상기후나 재난 예보 상황이 발생할 경우 정부의 안내에 적극 협조해 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권용훈 기자 fact@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