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과는 상위권 밭, 피할래요"…문과 전향한 고3 늘었다

3 weeks ago 3

사진은 기사와 무관함.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은 기사와 무관함.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의대 열풍과 이과 선호 현상이 이어지는 가운데 고3 문과 학생이 증가하는 이례적인 결과가 나왔다. 상위권 이과 쏠림 현상에 부담감을 느낀 중위권 이과생이 상위권 대학 진학을 노리기 위해 문과로 전향했다는 분석이다.

20일 학원가 등에 따르면 종로학원은 이날 '3월 전국연합학력평가(학평)' 채점 결과를 분석해 발표했다. 3월 학평은 지난달 26일 교육청이 주관한 시험으로 고3 수험생이 올해 처음 치른 전국 단위 모의고사다.

분석 결과 수학에서 확률과통계 응시생은 59.5%였다. 전년도 53.9%에서 5.6%포인트 상승했다. 확률과통계는 문과생이 주로 응시하는 과목이다.

반면 이과생이 주로 응시하는 미적분과 기하는 46.1%에서 40.5%로 5.6% 포인트 줄었다. 수학에서 미적분·기하 응시생은 문·이과 통합형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도입된 2022학년도 39.5%에서 2023학년도 43.2%, 2024~2025학년도 46.1%로 증가해 왔다. 응시생 상승세를 이어가다 올해 처음 큰 폭으로 하락한 것이다.

국어도 마찬가지다. 이과생이 주로 선택하는 과목인 언어와매체 응시생이 지난해 37.4%에서 올해 33.8%로 3.6% 포인트 하락했다. 반대로 문과생이 주로 선택하는 화법과매체의 응시생은 지난해 62.6%에서 올해 66.2%로 늘었다.

탐구영역 2과목 중 1과목은 사회탐구를 선택하는 이과생도 많아졌다. 일명 '사탐런'이 일어난 것이다. 탐구영역에서는 사회탐구 응시생이 64.6%로 지난해 55.1%보다 9.5%포인트 증가했다. 2022학년도 통합수능 도입 이래 최고치를 찍었다. 과학탐구 응시 비율은 지난해 44.9%에서 올해 35.4%로 하락했다.

비율뿐만 아니라 응시생 수 자체에도 변화가 있었다. 올해 고3 학생 수는 4만7733명 늘었는데 사회탐구 응시생은 9만8976명 늘었다. 과학탐구 응시생은 3만8979명 줄었다.

입시 전문가들은 대체로 중위권, 중하위권 이과생이 문과로 전향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최근 의대 선호 현상으로 상위권 학생이 이과에 집중돼 있는 데다 서울 소재 대학 합격선도 이과가 문과보다 높은 상황이라는 것. 이에 부담감을 느낀 이과 중위권대, 중하위권 학생들이 문과로 전향해 중상위권 대학을 노리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박수빈 한경닷컴 기자 waterbean@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