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림축산식품부가 가공식품과 외식 물가 상승세에 대응해 할당관세 확대, 할인쿠폰 지급, 원료수입 안정화 등 수급안정 대책을 본격 가동한다. 식품기업에 대한 가격 담합 조사와 공공배달앱 연계 정책도 병행 추진된다.
12일 농식품부에 따르면 지난 달 소비자물가 기준 가공식품은 전년 대비 4.1% 상승했다. 커피·코코아 등 국제 원재료 가격과 인건비·공공요금 상승이 복합 작용한 결과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할당관세 적용 품목을 연초 13개에서 21개로 확대했고 지난 1일부터 계란가공품(4000톤)도 새로 포함했다. 중소 식품기업에는 4500억원 규모의 원재료 구매자금과 수입 부가세 면세 혜택도 제공 중이다.
홍인기 농식품부 유통소비정책관은 “식품기업이 원가 부담을 이유로 가격을 올리는 일이 없도록 사전 협의와 업계 소통을 통해 인상률이나 인상 시기를 조정해 나가고 있다”며 “계란 가공품과 같은 주요 품목에 대한 할당관세도 선제적으로 확대해 대응하고 있다”고 밝혔다.
외식 물가는 전년 대비 3.2% 상승했다. 배달앱 수수료 부담 완화를 위해 추경에 650억원을 반영했고, 다음 달 말부터 공공배달앱(12개사) 이용자에게 2만원 이상 3회 주문 시 1만원 할인쿠폰을 지급하는 소비자 행사를 추진한다.
축산물 가격은 전년 대비 4.8% 상승했다. 국내산 돼지고기 뒷다릿살 수요가 늘었고 작년 할인행사에 따른 기저효과도 작용했다. 홍 정책관은 “돼지 도매가격은 현재 5700원 수준으로 약 3% 오른 상태이며 6월 이후에는 점차 하락할 것으로 본다”며 “가공용 수입 돼지고기 1만톤에 대해 할당관세 0%를 적용해 수급을 조절하고 시중 판매로 이어지지 않도록 분산 도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농산물은 봄 작형 채소류 생산 증가로 전년 대비 1.5% 하락했다. 배추는 봄 작형 출하 본격화로 가격 안정세로 전환됐고 시설채소도 낮은 가격을 유지 중이다. 사과와 배도 출하량 증가로 가격 안정세가 지속되고 있다. 특히 산불 피해와 관련해 “사과는 전국 재배면적의 1.4%만 영향을 받았고, 피해도 대부분 유목에 집중돼 실제 생산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농식품부는 배추·무·양파·마늘 등 주요 품목의 수매·비축을 확대하고 가격 담합 등 불공정 거래 행위가 의심되는 경우 공정위와 함께 조사를 벌일 계획이다. 할인지원 예산은 기존 1200억원에 잔액을 포함해 총 1600억원까지 투입되며 성수기 집중 집행 방침이다.
홍 정책관은 “농식품 물가가 국민 체감도와 직결되는 만큼, 시장 점검과 현장 수급 대응을 강화하고 기업의 가격 책정이 합리적으로 이뤄지도록 유통 구조 개선도 병행하겠다”고 밝혔다.
박효주 기자 phj20@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