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가 계속 뛰는데” 식품업계, 당정 ‘물가안정’ 우선순위 강조에 고심

1 day ago 1

李 ‘라면값’ 지적 이은 상생 압박에 난처…1위社 동향 주시
7~8월 여름 휴가철 라면·빵·커피 등 가격 안정 방안 동참

2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이 라면을 살펴보고 있다.  소비자물가지수가 한 달 만에 2%대로 올라서며 지난 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통계청이 발표한 ‘6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6.31로 전년 동월 대비 2.2% 상승했다. 특히 축산물(4.3%), 수산물(7.4%), 가공식품(4.6%), 외식(3.1%) 등 먹거리 가격이 전반적으로 크게 올랐다. 2025.07.02. [서울=뉴시스]

2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이 라면을 살펴보고 있다. 소비자물가지수가 한 달 만에 2%대로 올라서며 지난 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통계청이 발표한 ‘6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6.31로 전년 동월 대비 2.2% 상승했다. 특히 축산물(4.3%), 수산물(7.4%), 가공식품(4.6%), 외식(3.1%) 등 먹거리 가격이 전반적으로 크게 올랐다. 2025.07.02. [서울=뉴시스]
정부와 여당의 강력한 물가 안정 동참 강조에 식품업계의 고심이 깊어지는 모양새다. 제품 가격에 원·부재료와 가공비 상승 요인을 제때 반영하지 못하는 현실 속에 되레 인하 압박을 받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현재로선 한 발 물러서 정부의 여름 휴가철 가공식품 가격 안정 정책에 협조하며 ‘눈치보기’에 들어간 분위기다.

지난 6일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처음 열린 고위 당정협의회에서는 물가 안정을 위해 가용한 수단을 총동원하기로 했다.

더불어민주당 박상혁 수석대변인은 “물가 수준이 높아 생계 부담이 지속되는 만큼 체감물가 안정을 위해 총력을 다해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고 말했다.

8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 지수는 116.31로 전년 동월 대비 2.2% 올랐다. 올해 1월(2.2%) 이후 5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 폭이다.

물가 상승을 이끈 것은 가공식품이다. 전년 동월 대비 4.6% 올라 2023년 11월(5.1%) 이후 19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체 소비자물가에서 차지하는 기여도는 0.39%포인트(p)였다. 가공식품 물가가 전체 소비자물가를 0.39%p 끌어올렸다는 의미다. 가공식품 물가 부담이 줄어들려면 소득이 큰 폭으로 늘거나 먹거리 물가 상승 폭이 둔화하는 수밖에 없는데, 당장 소득이 획기적으로 증가하긴 어렵기에 식품 가격이 내리거나 동결되는 게 더 현실적인 방법이다.

게다가 과거에도 가격 인상을 단행했던 식품 업체들은 정부 입김에 철회·번복하는 해프닝을 여러 번 연출한 바 있다.

식품 업계는 이재명 대통령이 최근 라면값을 언급하며 물가 안정 대책을 주문한 데 이어 당정이 가세하면서 가격 인하 압박을 느끼고 있다.

지난 4일 농림축산식품부와 가진 식품·유통업계 간담회에서 7~8월 라면·빵·커피 등 먹거리를 최대 50% 할인된 가격에 파는 ‘여름 휴가철 가공식품 가격 안정 방안’에 참여키로 한 것도 그 중 하나다.

물론 과거와 분위기가 사뭇 다르다. 고금리·고환율·고유가 등 3고(高) 현상으로 원·부재료 부담이 상당해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은 확고하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고공 행진하는 물가를 잡겠다는 취지를 이해한다”면서도 “원·부재료와 물류비 등이 올라 경영 부담이 큰 상황에 정당한 가격 인상조차 할 수 없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 민간 기업이 언제까지 부담을 떠안아야 하는 거냐”고 항변했다.

물가 관리의 형평성 문제도 제기한다. 식품 업계만 유독 강하게 옥죈다는 것이다.

업계의 다른 관계자는 “전자기기와 자동차 같은 값비싼 제품은 놔두고 서민 생활에 밀접하단 이유로 매번 식품만 표적 삼는 것 같다”면서 “식품업체의 연 매출은 많아봤자 5조원 수준이고 영업이익률은 타 산업에 비해 월등히 낮은 편”이라고 전했다.

다만 정부의 상생 압박을 외면하기도 어려워 셈법이 복잡해 보인다.

업계 1위 업체의 가격 조정 동향을 예의주시하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통상 업계 1위 업체가 단행하면 다른 업체들이 뒤따르는 양상을 보인다.

또 원가 폭등으로 큰 부담이 있다는 정황은 눈에 띄지 않는다는 소비자단체들의 규탄도 큰 부담이다.

업계의 또 다른 관계자는 “물가 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내세운 정부의 산업계를 향한 압박에서 어떻게 자유롭겠냐”면서 “소나기는 피해가자는 심정일 뿐”이라고 토로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