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 (사진=AFP) |
[이데일리 정다슬 기자]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BOJ) 총재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정책에 대해 “국내외 경제와 물가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크게 높아졌다”고 언급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우에다 총재는 14일 오전 중의원 예산위원회에 출석해 “관세 정책이 다양한 경로를 통해 세계 경제 및 일본 경제를 하방압력으로 작용하는 요인이 된다”며 이같이 말했다.
우에다 총재가 트럼프 관세 정책에 대해 우려를 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그는 지난 4일에도 “이번 자동차 관세, 상호 관세 도입으로 국내외 경제 및 물가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커졌다. 다양한 경로를 통해 세계 및 일본 경제를 하방 압박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우에다 총재는 금융 완화를 정책 선택지에서 배제하느냐는 질문에 “2% 목표 달성이라는 관점에서 적절히 정책을 판단하겠다”고 답하는 데 그쳤다. 그는 관세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상하 양방향의 다양한 요인이 고려될 수 있어, 현 시점에 단정적으로 평가할 수 없다”고 밝혔다.
닛케이는 우에다 총재의 발언 자체는 발언 내용 자체는 종전과 크게 다르지 않지만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는 일본은행이 금리 인상으로 나아가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이 다시금 인식됐다”는 해석이 확산했다고 밝혔다.
이 발언이 전해진 이후 일본 채권시장에서 한때 전 거래일 대비 1.345%까지 상승했던 신규발행 10년물 국채 수익률은 상승폭이 0.03%로 줄었다. 선물시장에서는 결제일이 6월인 국채선물은 전 거래일 대비 0.28엔 오른 141.35엔으로 오후장 거래를 시작했고, 한때 141.39엔까지 매수세가 이어졌다.
다만 일본의 상황이 녹록지 않다. 금리 인상을 보류한다는 신호를 강하게 주면 엔저를 적대시하는 트럼프 대통령을 자극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속적으로 일본의 엔저를 문제삼고 있으며 엔·달러 환율은 미일 관세협상의 주요 의제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닛케이는 “현재 일본은 관세로 인한 경기 하방 리스크에 직면해 현실적으로 조기 금리 인상 가능성은 후퇴했다”며 “그럼에도 관세 협상에 대비해 ‘금리 인상 기조’는 계속 유지해야만 하는 상황이며 섬세한 정책 조율이 요구되는 국면”이라고 짚었다.
일본은행은 오는 30일과 5월 1일 양일간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금융정책결정회의를 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