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방역 사각지대로 지적돼온 외국인 근로자를 위해 메타버스 기반 '가상 방역 교육장'을 열었다. 언어 장벽과 교육 접근성 한계를 보완해 누구나 스마트폰으로 자율 학습이 가능하도록 설계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가상농장 가축방역 교육프로그램'을 시범 운영한다고 13일 밝혔다.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와 공동으로 마련한 이번 프로그램은 축산업 종사 외국인 근로자와 신규 농장주가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방역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기획됐다.
교육 프로그램은 축산농장의 주요 방역 절차를 가상공간에 구현한 메타버스 기반 콘텐츠다. 참가자는 별도 프로그램 설치 없이 스마트폰이나 PC 웹브라우저에서 주소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접속할 수 있다. 공항만 검역 절차, 축종별 방역 요령, 차량·인원 소독, 의심 증상 신고 절차 등 핵심 수칙을 시청각 콘텐츠로 반복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특히 축산차량 소독, 장화 갈아신기 등 실제 현장에서 요구되는 절차도 게임 형태로 체험할 수 있도록 구현돼 학습 몰입도를 높였다.

방역 교육 콘텐츠는 영어, 중국어, 베트남어, 태국어, 네팔어 등 총 8개 언어로 제공된다. 이는 그동안 우리말 위주의 집합 대면 교육에서 소외됐던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디지털 전환형 교육 모델로 주목된다. 농장 업무로 대면 교육 참석이 어려운 영세 축산농장주에게도 현실적 대안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교육 수료자에게 수료증을 발급하고, 향후 살처분 보상 감액 경감, 방역교육 이수시간 인정 등 제도적 인센티브와도 연계할 계획이다. 방역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실질적 장치로서 제도 정비까지 염두에 두고 있는 셈이다.
최정록 농림축산식품부 방역정책국장은 “모든 축산업 관계자가 기본 방역수칙을 숙지하고 실천하는 것이 방역의 출발점”이라며 “지자체와 농장 현장에서도 외국인 근로자와 신규 농장주가 본 교육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안내와 홍보를 강화해달라”고 밝혔다. 또 “시범 운영 기간 중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을 지속 보완해 콘텐츠를 고도화하고, 교육 수요자 중심의 디지털 방역 교육 모델을 정착시킬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효주 기자 phj20@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