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해는 소통으로 풀 것…PEF 경영 성공 사례 많아"

4 weeks ago 3

“사모펀드(PEF)가 단기 성과에 치우칠 수밖에 없다고 하지만 보는 관점에 따라 다릅니다. PEF의 경영은 가족 경영보다는 짧지만 자본시장에서는 가장 길게 투자합니다. PEF 경영은 실패보다 성공 사례가 훨씬 더 많다는 점을 주목해야 합니다.”

"오해는 소통으로 풀 것…PEF 경영 성공 사례 많아"

PEF협의회 회장을 맡고 있는 임유철 H&Q코리아 공동대표(사진)는 분주한 나날을 보내고 있다. 홈플러스 사태로 눈덩이처럼 커진 부정적인 편견을 걷어내기 위해서다. 임 대표는 18일 한국경제신문과 인터뷰에서 “PEF는 국민들의 노후가 직결돼있는 연기금·공제회 등에게 수익을 돌려주는 게 제일 중요하다”며 “법과 규율 내에서 수익률을 제고해 국부 창출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올해는 한국에 PEF 제도가 도입된 지 20주년을 맞는 해다. 자본시장의 첨병으로 떠오른 PEF는 산업 생태계에 빼놓을 수 없는 존재가 됐다. 하지만 홈플러스 경영 실패 책임으로 규탄 목소리가 커지면서 국회에서 PEF를 옥죄는 규제 법안이 잇따라 발의됐다. 상장사 지분 25% 이상을 취득하면 잔여 지분 전부를 공개매수로 취득하도록 하는 의무공개매수제도가 대표적이다. 법안이 현실화하면 경영권 지분을 사고파는 바이아웃 PEF가 가장 큰 타격을 받는다. 임 대표는 “의무공개매수는 상장사 인수·합병(M&A)을 위축시킬 것”이라며 “주주평등 원칙에는 공감하지만 M&A의 순기능도 위축시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 PEF협의회는 회원사들 의견을 모아 이같은 우려를 담은 의견서를 금융위에 제출했다.

공모펀드처럼 PEF의 공시를 강화하는 법안도 나왔다. 이에 대해서도 임 대표는 “PE는 출자자(LP)들에게 이미 수시로 보고를 하고 있는데 별도의 보고체계가 필요한지 의문”이라며 “보완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사의 주주 충실의무와 공평대우 의무를 강화한 개정 상법에 대해 임 대표는 “기본적으로 PEF는 주주행동주의를 태생적으로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LP들에게 좋은 수익률을 안겨주기 위해선 투자한 포트폴리오 기업의 가치가 올라가야 하고, 이는 밸류업과 투명한 기업 거버넌스를 통해 이룰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한국에서 PEF가 성숙기에 접어들었지만 대중의 이미지는 여전히 ‘기업사냥꾼’ ‘먹튀’ 같은 부정적 평가 일색이다. 임 대표는 “한편에서는 억울하다는 반응도 있다”면서도 “PEF가 사회에 끼치는 영향이 크다. 오해의 소지가 있는 건 소통으로 풀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송은경 기자 norae@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