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끌' 아니면 '월세'… 30대 주거 양극화

4 days ago 1

부동산

'영끌' 아니면 '월세'… 30대 주거 양극화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세로 거주하는 30대 초반의 비중이 감소하고 월세 및 자가 거주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는 통계청의 보고서가 발표됐다.

1970~1974년생부터 1985~1989년생까지의 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월세 거주 비율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반면, 전세 비율은 감소 추세에 있다.

또한, 전세 사기 문제도 이러한 주거 유형 변화에 영향을 미쳤으며, 서울의 월세 거래 비중이 지난해 처음으로 절반을 넘어섰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자가·월세 비중 함께 늘어
전세 비중은 갈수록 감소

사진설명

전세로 사는 30대 초반 비중이 갈수록 줄어들고 월세나 자가 거주 비중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여력이 있는 청년층은 자가를 소유한 채 가정을 꾸리지만, 그렇지 못한 청년들은 월세로 내몰리는 '양극화'가 진행되는 것으로 풀이된다.

27일 통계청 국가통계연구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생애과정 이행에 대한 코호트별 비교 연구: 혼인·출산·주거'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는 5년 단위로 시행되는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를 코호트(공통된 특성을 가진 사람 집단) 분석했다.

분석 결과 1970~1974년생이 30대 초반이던 때에는 월세 거주 비율이 17.3%였다. 이 비율은 1975~1979년생이 30대 초반이 된 시기에 19%로 늘었다. 30대 초반 월세 비율은 1980~1984년생 20.8%, 1985~1989년생 21.3%로 계속 높아졌다.

동시에 집주인이 된 30대 초반 비율도 늘었다. 30대 초반 자가 거주 비율은 1970~1974년생이 48.1%, 1975~1979년생이 46.6%, 1980~1984년생이 51.1%, 1985~1989년생이 49%였다. 반면 사회초년생의 대표적인 주거 유형이었던 전세 비중은 감소 추세다. 30대 초반 전세 거주 비율은 1970~1974년생이 30.5%, 1975~1979년생이 29.8%, 1980~1984년생이 23.7%, 1985~1989년생이 26.2%였다.

전세 사기 문제도 이 같은 거주 유형 변화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이날 부동산플래닛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시 연립·다세대주택 임차 시장에서 월세 거래 비중은 54.4%로 절반을 넘어섰다. 월세가 전세 거래 비중을 앞지른 것이다. 3년째 감소세를 보이는 전세 거래량과 달리 월세 거래량은 6년 연속 증가했다.

[이희수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