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이 지난 2월 2만3000건을 웃돌며 11년4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최근 준공 후 미분양 3000가구에 대해 매입 공고를 냈지만, 지방을 중심으로 중견 건설사의 유동성 리스크가 지속되고 있다. 2월 봄 이사철 수요와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금리 인하 기대 등이 맞물리며 서울 아파트 거래는 1월에 비해 47%가량 증가했다.
◇지방, 악성 미분양 81% 차지
3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전국 미분양 주택은 총 7만61가구로 1월보다 3.5% 감소했다. 수도권 미분양이 1만9748가구에서 1만7600가구로 줄었고, 지방 미분양 역시 5만2876가구에서 5만2461가구로 소폭 감소했다.
하지만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3772가구로, 1월에 비해 3.7% 증가했다. 2013년 10월(2만4667가구) 후 11년4개월 만의 최대로 19개월 연속 증가세다. 특히 지방 물량(1만9179건)이 전체 악성 미분양의 81%를 차지했다. 충북 지역(565가구)은 악성 미분양이 전월보다 40.2% 급증했다. 대구(3067건) 경북(2502건) 경남(2459건) 전남(2401건) 부산(2261건) 등이 다 지은 채 주인을 못 찾은 아파트가 많았다.
최근 LH는 준공 후 미분양 3000가구의 매입 공고를 냈다. 매입 대상 주택은 입주자 모집공고 절차를 거친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로, 지방 전 지역이 대상이다. 업계는 LH의 3000가구 직매입만으로는 빠른 속도로 침체하는 지방 시장 분위기를 반전시키기 쉽지 않다고 보고 있다. 취득세와 양도소득세 감면 등 특단의 세제 혜택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다.
주택 공급 선행 지표도 대부분 부진했다. 2월 전국 주택 인허가 물량은 1만2503가구로, 1월과 비교해 44.3% 감소했다. 수도권 주택 인허가는 1월 대비 53.7% 감소한 7003가구였다. 지방은 5500가구가 인허가를 받아 1월 대비 24.9% 축소됐다. 주택 착공 물량은 1.1% 쪼그라든 1만69가구로 집계됐다. 수도권 착공(4449가구)은 11.6% 증가했으나, 지방(5620가구)은 9.3% 감소했다.
◇토허제·봄 이사철 영향 … 거래 ‘쑥’
주택 거래량은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와 봄 이사철 수요 등에 힘입어 늘어났다. 2월 말 기준 서울 전체 주택 거래량(신고일 기준)은 1월 대비 37.9% 증가한 7230건이었다.
서울 주택 중 아파트 거래량은 4743건으로, 1월에 비해 46.7% 급증했다. 특히 강남 4구(강남·서초·송파·강동구) 거래가 1월에 비해 47.1% 불어난 1680건으로 집계됐다. 봄 이사철 수요와 금리 인하 기대,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등의 영향으로 거래가 활발해졌다는 분석이다.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거래량(2만4026건)은 1월보다 34.6% 증가했다. 지방도 2만6672건으로 30% 늘었다. 전국 주택 거래량은 5만698건으로, 1월 대비 32.3% 늘었다. 전국 아파트 거래는 34% 증가한 3만9925건, 비아파트는 26.2% 늘어난 1만773건이었다.
2월 주택 전·월세 거래는 27만8238건으로 1월보다 38.6% 늘었다. 전세 거래(10만3114건)는 25.9% 늘었고, 월세 거래(17만5124건)는 47.4% 증가했다. ‘전세의 월세화’ 현상 확산으로 월세 거래(보증부월세 등 포함)가 63%를 차지했다.
심은지 기자 summi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