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더이상 갈등 조장안돼…결과 승복하고 통상압박 극복을"

5 days ago 5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이후 정치적 갈등 심화 우려와 함께 사회적 승복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여론조사에 따르면, 탄핵 결과에 대한 수용 의사는 50%에 불과하며, 정치권 원로들은 결과에 관계없이 승복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경제 전문가들은 현재의 정치적 불안정과 경제적 위기를 지적하며, 정치적 안정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정치권·경제 원로들 한목소리
승복은 민주주의의 기본 문제
정치권 분열적 행동하지 말고
사회 통합의 제역할 앞장서야
선고후 대미 통상외교 집중해
관세피해 최소화 방안 찾아야
전국지표조사 진영갈등 심각
"내 생각과 달라도 수용"50%

◆ 탄핵 정국 ◆

사진설명

헌법재판소가 4일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 선고를 마친 이후 진영 간 갈등과 분열이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물리적 충돌 우려까지 나오면서 각계 원로들은 한목소리로 '승복'과 '자제'를 당부했다. 민주공화국의 법치주의 원칙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결과를 수용하고 이제 미래로 나아가야 한다는 사회적 공감대가 꼭 필요하다는 지적이 많았다. 경제관료를 역임한 원로들은 최근의 정치적·경제적 상황을 가리켜 '전대미문의 위기'라고 진단했다.

국민 여론도 여전히 날이 서 있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달 31일부터 이달 2일까지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진행해 3일 공개한 전국지표조사(NBS)에 따르면 '탄핵심판 결과가 내 생각과 달라도 수용하겠다'는 응답은 50%에 그쳤다. '내 생각과 다르면 수용하지 않겠다'는 의견이 44%에 이른다.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 선고를 하루 앞둔 3일 국민의힘 의원들이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탄핵 각하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인선·윤재옥·나경원·권영진·박대출 의원.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 선고를 하루 앞둔 3일 국민의힘 의원들이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탄핵 각하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인선·윤재옥·나경원·권영진·박대출 의원. 연합뉴스

정치권 원로들은 사회 분열 심화를 우려하며 "어떠한 결과가 나오더라도 승복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특히 정치권이 먼저 분열적 행동을 멈춤으로써 사회 통합을 위해 제 역할을 해야 한다는 간곡한 호소도 내놨다.

지난해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을 지낸 황우여 전 사회부총리는 3일 "헌재 선고가 나면 그게 인용이든 기각이든 혼란이 당분간 이어질 텐데, 양당이 이를 부추기는 언행을 해서는 절대로 안 된다"면서 "당연히 승복해야 하고 국민들도 차분하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해야지 다툼만 반복해선 안 된다"고 당부했다.

더불어민주당 출신인 문희상 전 국회의장도 "결과가 어떻게 나오든지 승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문 전 의장은 "헌법에 승복 규정이 있고 없고의 문제가 아니다"면서 "우리가 민주주의 제도를 채택한 이상 헌법을 따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헌법에 대한 최종 판단 기관으로 헌재를 인정했다"며 "승복은 민주주의의 기본에 관한 문제"라고 덧붙였다.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3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앞 텐트 농성장에서 윤석열 대통령 파면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뒷줄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안태준·이연희·맹성규·박범계·송기헌 의원이 피켓을 들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3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앞 텐트 농성장에서 윤석열 대통령 파면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뒷줄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안태준·이연희·맹성규·박범계·송기헌 의원이 피켓을 들고 있다. 연합뉴스

20대 국회의원을 지낸 이상돈 중앙대 명예교수는 '심리적 승복'을 주문했다. 이 명예교수는 "명시적인 승복과 통합도 필요하지만 심리적인 승복이 우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거슬러 올라가 본다면 박근혜·문재인 전 대통령 시절 그들을 찍지 않았더라도 일단 처음에는 인정하고 승복했다"면서 "심리적인 승복이 없으면 결과와 상관없이 나라의 미래를 위한 다음 스텝이 제대로 이어지는 것도 어렵다"고 짚었다.

고위 경제관료 출신들도 정치적 안정을 강조했다. 윤증현 전 기획재정부 장관은 현재 대한민국 경제 상황을 "전대미문의 내우외환으로, 한꺼번에 이렇게 여러 가지 문제가 덮쳐온 것은 전례가 없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국내 정치·경제 사령탑 공백, 리더십 실종이 심각한 수준"이라며 "외부에서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신정부의 보호무역주의가 강화되고 있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공급망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 말했다. 윤 전 장관은"헌재 선고 결과와 관계없이 정치적 안정을 확립하는 게 가장 시급한 과제"라고 분석했다.

이명박 정부에서 기획재정부 장관을 역임한 박재완 경제교육단체협의회 회장은 탄핵 선고 이후 국회와 정부가 대미 통상외교에 집중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박 회장은 "결과와 상관없이 여야 정치권과 경제팀은 대미 통상외교와 경제안보 분야에 사활을 걸어야 한다"며 "가용한 모든 대미 라인을 동원해 관세 피해를 최소화할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NBS 조사는 휴대전화 가상번호(100%)를 이용한 전화 면접으로 이뤄졌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 응답률은 22.4%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전형민 기자 / 문지웅 기자 / 곽은산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