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범·대교 등 재건축 속도
65층 정비계획 확정되자
전용 118㎡가 30억 돌파
현금부자들 투자 이어져
재초환·재건축 특례법 등
무산가능성 커··유의해야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구역) 규제 강화에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노후 단지에서 연일 신고가 거래가 나오고 있다. 재건축 기대감이 높은 데다 강남권 단지 대비 상대적으로 저평가돼 있다는 인식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조기 대선 이후 차기 정부 기조에 따라 재건축 정책이 완전히 바뀔 수 있어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8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주 영등포구 아파트 값은 0.16% 상승했다. 전주(0.10%) 대비 상승폭을 키워 주목된다. 지난달 24일 토지거래허가구역이 확대 지정된 이후 서울 대부분 자치구의 집값 상승폭이 줄었지만 영등포구만은 다른 양상을 보인 것이다. 특히 노후 단지가 몰려 있는 여의도동을 중심으로 상승했다는 게 한국부동산원 측 설명이다.
한국부동산원은 “재건축 추진 단지에 대한 국지적 수요는 꾸준하다”고 말했다. 실제 재건축 속도가 빠른 여의도 단지를 중심으로 신고가가 속출하고 있다. 1971년 지어진 여의도 시범아파트는 국민평형 가격이 30억원을 넘어서며 최고가를 기록했다. 시범아파트 전용면적 118㎡(36평)가 지난 1일 30억원에 중개 거래된 것이다. 갭투자 등이 제한되는 규제가 있지만 현금 부자들의 투자가 이어지고 있다는 해석이다.
이 단지 전용 79㎡(24평)도 지난 1일 25억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갈아치웠다. 같은 평형이 지난달 23일 23억5000만원에 팔리며 최고가를 찍었는데 약 일주일 만에 1억5000만원이 오르며 기록이 깨졌다. 여의도 시범아파트는 최근 65층 높이, 2473가구 규모로 재건축하는 정비계획이 확정된 바 있다. 연내 시공사 선정과 사업시행계획인가 절차를 밟는 게 목표다.
여의도 노후 단지 가운데 재건축 속도가 가장 빠른 대교아파트(1975년)에서도 신고가가 나왔다. 이 단지 전용 133㎡(43평)는 지난달 24일 31억5000만원에 팔리며 신고가를 썼다. 작년 9월 같은 평형이 28억원에 팔린 걸 고려하면 6개월 만에 3억5000만원이 오른 셈이다. 대교아파트는 여의도 단지 중 1호로 사업시행계획인가를 받기 위해 오는 26일 조합 총회를 개최한다.
이외에도 여의도 진주·공작·미성아파트에서 최근 2주 사이 최고가 거래가 나왔다. 여의도 한 공인중개소 대표는 “재건축 속도를 내는 대교, 시범, 공작, 한양아파트를 위주로 호가가 많이 올라 있다. 재건축 기대감이 확실히 높다”며 “강남·서초가 워낙 많이 오르다 보니 마찬가지로 업무지구에 있는 여의도 단지가 상대적으로 저평가돼 보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최근 들어 정책 변수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조기 대선이 본격화되며 재건축 규제 완화를 추진해온 윤석열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사실상 멈춰 섰기 때문이다. 차기 정부가 어떤 부동산 정책을 펼치느냐에 따라 재건축 사업성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재건축·재개발 활성화 정책을 펴온 오세훈 서울시장도 대선 출마 가능성이 높다. 정부 정책은 물론 서울시정에도 변화가 생길 수 있는 셈이다. 여의도 한 재건축 조합 관계자는 “정비사업 규제가 강화될지 걱정이 크다”고 토로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선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 폐지를 요청하는 국회 청원을 공유하는 상황이기도 하다.
고준석 연세대 상남경영원 교수는 “재건축 절차상 건축심의나 사업시행계획인가를 받으면 정권이나 서울시정이 바뀌어도 큰 여파는 없다. 어느 정도 단계가 지나면 규제가 강화돼도 소급적용이 어렵기 때문”이라면서도 “아직 정비계획이 확정되지 않은 초기 단지들은 규제 강화에 크게 흔들릴 수도 있으니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