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사진)이 일본은행에 기준금리 인상을 우회적으로 촉구했다. 엔화 약세를 시정하기 위해 일정 부분의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는 견해다. 베선트 장관은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에 대해서는 금리 인하를 촉구하는 인물이기도 하다.
29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베선트 장관이 지난 27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미·일 재무장관 회담에서 가타야마 사쓰키 일본 재무상에게 건전한 통화정책 수립의 필요성을 강조했다고 보도했다.
베선트 장관은 회담에서 "아베노믹스가 도입된 지 12년이 지나면서 상황이 크게 변하고 있다"며 "현재는 엔저 현상과 인플레이션에 대해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가 과제가 됐다"고 언급했다.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가 2012년부터 시작한 아베노믹스는 디플레이션에서 벗어나기 위해 강력한 재정정책과 완화적인 금융환경을 조성한 것이 특징이다. 다카이치 사나에 신임 일본 총리는 이 같은 아베노믹스를 계승한 정책을 취하고 있다.
결국 베선트 장관의 발언은 인플레이션을 안정시키고 과도한 환율 변동을 막기 위해 일본은행의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드러낸 것이라고 닛케이는 분석했다.
베선트 장관은 지난 8월과 10월 언론 인터뷰에서도 일본은행이 인플레이션 문제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금리 인상을 통해 엔고를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는 등 일본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을 우회적으로 압박해왔다.
[도쿄 이승훈 특파원]





![[속보] 백악관 "나사 아르테미스Ⅱ에 韓 위성 탑재, 우주 방사선 측정"](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01.42038265.1.jpg)


![엄지성 이어 조규성·이한범도 포스텍 울렸다! 미트윌란, 노팅엄 원정서 3-2 승리…포스텍의 노팅엄, ‘패패무무패패’ 멸망 [유로파리그]](https://pimg.mk.co.kr/news/cms/202510/03/news-p.v1.20251003.f2964094c0e0447f84af28c5f48d0e9a_R.jp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