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저 견제하는 베선트, "인플레이션 대응해야" … 日銀에 금리인상 압박

7 hours ago 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일본은행에 기준금리 인상을 촉구하며 엔화 약세를 시정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미·일 재무장관 회담에서 아베노믹스 이후 일본의 통화정책 상황 변화에 대해 언급하며, 인플레이션 대응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베선트 장관의 발언은 일본은행이 적절한 금리 인상을 통해 엔고를 유도해야 한다는 인식을 반영한 것으로 분석된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사진설명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사진)이 일본은행에 기준금리 인상을 우회적으로 촉구했다. 엔화 약세를 시정하기 위해 일정 부분의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는 견해다. 베선트 장관은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에 대해서는 금리 인하를 촉구하는 인물이기도 하다.

29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베선트 장관이 지난 27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미·일 재무장관 회담에서 가타야마 사쓰키 일본 재무상에게 건전한 통화정책 수립의 필요성을 강조했다고 보도했다.

베선트 장관은 회담에서 "아베노믹스가 도입된 지 12년이 지나면서 상황이 크게 변하고 있다"며 "현재는 엔저 현상과 인플레이션에 대해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가 과제가 됐다"고 언급했다.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가 2012년부터 시작한 아베노믹스는 디플레이션에서 벗어나기 위해 강력한 재정정책과 완화적인 금융환경을 조성한 것이 특징이다. 다카이치 사나에 신임 일본 총리는 이 같은 아베노믹스를 계승한 정책을 취하고 있다.

결국 베선트 장관의 발언은 인플레이션을 안정시키고 과도한 환율 변동을 막기 위해 일본은행의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드러낸 것이라고 닛케이는 분석했다.

베선트 장관은 지난 8월과 10월 언론 인터뷰에서도 일본은행이 인플레이션 문제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금리 인상을 통해 엔고를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는 등 일본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을 우회적으로 압박해왔다.

[도쿄 이승훈 특파원]

기사 속 종목 이야기

  • Mitsubishi UFJ Financial Group, Inc.

    MUFG, NYSE

주의사항 : 본 서비스는 AI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든 내용은 투자 권유 또는 주식거래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