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개 시도 총 52곳 거점형 돌봄기관 지정 운영
맞벌이 부모의 돌봄 공백을 메우기 위한 ‘거점형 돌봄기관’이 전국 11개시도에서 52곳 지정됐다. 평일 아침·저녁이나 휴일에도 아이를 맡길 수 있어 야근이나 주말근무가 잦은 가정의 부담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교육부는 서울, 경기, 부산 등 11개 시도교육청과 함께 유치원과 어린이집 중 52개 기관을 ‘거점형 돌봄기관’으로 지정해 만 3~5세 유아를 대상으로 시범 운영을 시작한다고 8일 밝혔다. 거점형 돌봄기관은 기존 돌봄시설이 부족하거나 지리적으로 접근성이 낮은 지역을 중심으로 선정됐다.
거점 기관은 인근 어린이집 혹은 유치원과 사전 협약을 맺고 아침·저녁 출퇴근 시간대와 휴일·방학 등 돌봄 수요에 맞춰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유보통합 취지를 살려 기관 구분 없이 유아가 어린이집 혹은 유치원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예를 들어 부모의 이른 출근으로 아침 돌봄이 필요한 경우, 아이는 거점형 오전 7시부터 8시반까지 거점 기관에서 오전 돌봄을 이용한 뒤 평소 다니는 기관으로 이동한다. 이때 거점 기관에서 차량과 보호 동승자를 포함한 이동 지원도 이뤄진다.
교육부는 지난달 거점기관장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연 데 이어 전국 6개 권역별 ‘거점형 돌봄 지원단’을 구성해 컨설팅도 제공할 예정이다. 박대림 교육부 영유아지원관은 “돌봄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학부모의 돌봄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지역과 기관의 특성을 반영한 학부모 수요 맞춤형 돌봄 정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