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근 잦은 맞벌이 ‘엄빠’에게도 희망이…야간·휴일 돌봄가능 거점기관 52곳 생긴다

1 day ago 4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맞벌이 부모의 돌봄 공백을 메우기 위해 11개 시도에서 52곳의 '거점형 돌봄기관'이 지정되어 시범 운영을 시작한다.

이 기관들은 아침 및 저녁 시간대와 휴일에 맞춤형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여 부모의 양육 부담을 경감할 것으로 기대된다.

교육부는 이를 통해 돌봄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지역과 기관의 특성에 맞춘 정책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11개 시도 총 52곳 거점형 돌봄기관 지정 운영

서울시에 위치한 한 어린이집 모습.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

서울시에 위치한 한 어린이집 모습.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

맞벌이 부모의 돌봄 공백을 메우기 위한 ‘거점형 돌봄기관’이 전국 11개시도에서 52곳 지정됐다. 평일 아침·저녁이나 휴일에도 아이를 맡길 수 있어 야근이나 주말근무가 잦은 가정의 부담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교육부는 서울, 경기, 부산 등 11개 시도교육청과 함께 유치원과 어린이집 중 52개 기관을 ‘거점형 돌봄기관’으로 지정해 만 3~5세 유아를 대상으로 시범 운영을 시작한다고 8일 밝혔다. 거점형 돌봄기관은 기존 돌봄시설이 부족하거나 지리적으로 접근성이 낮은 지역을 중심으로 선정됐다.

거점 기관은 인근 어린이집 혹은 유치원과 사전 협약을 맺고 아침·저녁 출퇴근 시간대와 휴일·방학 등 돌봄 수요에 맞춰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유보통합 취지를 살려 기관 구분 없이 유아가 어린이집 혹은 유치원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예를 들어 부모의 이른 출근으로 아침 돌봄이 필요한 경우, 아이는 거점형 오전 7시부터 8시반까지 거점 기관에서 오전 돌봄을 이용한 뒤 평소 다니는 기관으로 이동한다. 이때 거점 기관에서 차량과 보호 동승자를 포함한 이동 지원도 이뤄진다.

교육부는 지난달 거점기관장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연 데 이어 전국 6개 권역별 ‘거점형 돌봄 지원단’을 구성해 컨설팅도 제공할 예정이다. 박대림 교육부 영유아지원관은 “돌봄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학부모의 돌봄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지역과 기관의 특성을 반영한 학부모 수요 맞춤형 돌봄 정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