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의 폭정’: 스마트폰이 없는 사람들은 부당한 불이익을 받고 있음

9 hours ago 2

  • 영국은 수백만 명이 스마트폰이 없거나 앱을 사용하지 않으며, 일부 사람들은 보안 문제로 인해 앱을 다운로드하지 않기를 선택
  • 그러나 많은 기업이 앱 사용을 강제하며, 이를 통해 더 나은 할인, 금융 혜택 및 필수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음
  • 스마트폰을 살수 없거나, 구형기기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점점 필수 서비스에서도 배제되어 사회적, 경제적으로 불리한 입장에 처하고 있음
    • 주차 요금 결제, 콘서트 티켓 구매 등 일상적인 활동조차 어려워짐

"이건 앱의 폭정(tyranny)" 입니다. 새 스마트폰을 사려면 수백 파운드가 들기 때문에, 결국 이는 비싼 '참여 비용(passport to participate)' 이 됩니다.

  • 영국의 경우 16세 이상 인구의 8%가 스마트폰이 없음 → 약 450만 명, 75세 이상 인구의 28%가 스마트폰이 없음
    • 앱을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할 수 없는 사람들까지 포함하면 실제 영향받는 인구는 훨씬 많음

앱이 없는 사람들은 어떤 문제를 겪고 있는가?

소매 및 할인 프로그램 배제

  • 많은 소매업체가 앱 사용자에게만 할인 및 포인트 적립 혜택 제공
  • 예시:
    • Lidl Plus 앱: 25% 할인(참치 캔), 20% 할인(즉석밥) 등 혜택이 있지만 앱 없이 이용 불가
    • Asda Rewards: 포인트 적립 후 쿠폰으로 변환 가능하지만, 오직 앱에서만 사용 가능
    • Greggs 앱: 다운로드하면 무료 음료 제공
  • 디지털 배제 문제
    • 앱을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 특히 저소득층이 이러한 혜택을 받지 못함
    • 가장 할인이 필요한 계층이 오히려 혜택에서 배제

주차 결제의 불편함

  • 영국에는 30개 이상의 주차 앱이 존재하며, 지역마다 다른 앱을 사용해야 함
  • 많은 고령자들이 앱을 통한 주차 결제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심지어 병원 방문도 어려워짐
  • 정부가 "국가 주차 플랫폼(NPP)"을 개발 중이지만, 예산 문제로 미래가 불확실함
  • 일부 지방정부는 주차장 내 현금 및 카드 결제 기계를 없애고 앱 결제를 강제하고 있음
    • 예시: 런던 Barnet 시의 모든 공영 주차장이 앱 결제로 전환됨

콘서트 및 이벤트 티켓 구매 제한

  • 점점 더 많은 공연장과 이벤트가 모바일 앱을 통한 티켓 발급을 필수화하고 있음
  • 예시:
    • 런던 O2 아레나: 모바일 ID 시스템을 통한 입장 필수
    • Ovo Arena Wembley, University of Wolverhampton 등도 유사한 방식 적용
  • 앱을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은 별도로 신분증과 이메일을 지참해야 하며, 입장 절차가 더욱 복잡해짐

음식 및 음료 할인 제한

  • McDonald’s: 앱을 통해 Big Mac을 £1.49(정가 £4.99), Happy Meal을 **£1.99(정가 £3.59)**에 제공
  • Subway: 포인트 적립 후 “Subway Cash”로 변환 가능하지만 앱 필수
  • 일부 펍 및 커피숍도 앱 전용 할인 제공
    • Harris + Hoole: 6잔 구매 시 무료 커피 제공(앱 전용)

은행 및 금융 서비스 접근 제한

  • 많은 최고 금리 예금 상품이 앱 전용으로 제공됨
  • 예시:
    • Atom Bank, Chip, Plum 등은 앱을 통해 4.6% 이상의 고금리 제공
    • HSBC의 Global Money 서비스앱에서만 이용 가능
  • 앱 전용 금융 상품 증가
    • 인터넷 뱅킹이 필수가 되었듯이, 이제는 앱 사용이 금융 혜택을 받기 위한 필수 조건이 되고 있음
    • 스마트폰이 없는 사람들은 높은 금리 혜택을 받을 수 없는 상황

결론: 앱을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의 사회적 불이익 증가

  • 앱 중심 사회에서 디지털 소외 계층의 불이익이 커지고 있음
  • 스마트폰 구매 비용이 높고, 앱 사용을 원하지 않는 사람들도 많음
  • 기업들은 앱을 통해 고객 데이터를 수집하고, 더욱 개인화된 마케팅을 제공하려 하지만, 비앱 사용자는 점점 더 많은 서비스에서 배제됨
  • 디지털 포용 정책 및 비앱 사용자 지원책이 필요함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