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중국 직구 브랜드 제품 전수 조사
가방·화장품·소형가전 모두 위조 판정
                                     
                    
                
31일 서울시는 알리익스프레스·테무·쉬인 등 해외 온라인 플랫폼에서 판매 중인 12개 브랜드의 16개 제품을 대상으로 정품 여부를 조사한 결과, 전 제품이 위조품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분석은 국가공인시험기관인 한국의류시험연구원(KATRI)이 맡았다.
점검 대상은 △가방 7개 △의류 1개 △화장품 6개 △소형가전 2개였다. 서울시 관계자는 “위조가 잦은 품목과 최근 논란이 된 화장품을 중심으로 선정했다”며 “해당 제품들은 정상가보다 33%에서 많게는 97% 저렴하게 판매되고 있었다”고 말했다.
가방과 의류 8개 제품은 모두 정품과 디자인·라벨 등에서 차이가 뚜렷했다. 로고 모양, 지퍼와 자석, 가방끈 연결고리 등 부자재의 색상과 형태가 다르고, 섬유 혼용률·제품명 표기 등 표시사항에는 오타가 다수 발견됐다. 특히 같은 제품을 세 개 플랫폼에서 각각 구매해 비교한 결과, 위조 판정 사유가 동일해 공급 단계에서 조직적으로 위조품이 유통되고 있을 가능성도 제기됐다.화장품 6개 역시 전부 정품과 불일치했다. 로고 글씨체, 포장재 소재, 표시사항 배열 등이 다를 뿐 아니라 일부 제품은 주요 성분도 달랐다. 예를 들어 한 브랜드의 클렌징오일은 정품이 식물성 오일을 사용하지만, 위조품은 미네랄 오일을 사용해 성분 차이를 보였다. 또 세럼 제품의 경우 오일층 형상이 정품과 달라 안전성 우려도 지적됐다.
무선 이어폰과 헤어드라이어 등 소형가전 2개 제품도 로고 위치, 스위치 표시, 제품 마감 등에서 정품과 차이를 보였다.
서울시 관계자는 “정품과 나란히 비교하면 차이가 크지만, 온라인에서는 판매자가 브랜드명이나 정품 이미지를 무단으로 쓰는 경우가 많아 소비자가 위조 여부를 구별하기 어렵다”며 “해외직구 시 브랜드 공식 판매처를 이용하고, 정상가보다 지나치게 저렴한 제품은 위조 가능성을 의심해야 한다”고 당부했다.서울시는 이번 점검 결과를 토대로 해외 온라인 플랫폼 측에 해당 제품의 판매 중단을 요청했다.송진호 기자 jino@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

 11 hours ago
                        2
                        11 hours ago
                        2
            
        
![[포토] 빼빼로 먹는 젠슨 황 딸 매디슨 황](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01.42237982.1.jpg)
![[포토] 넥타이 푸는 젠슨 황](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01.42236784.1.jpg)
![[포토] 기자들에게 빼빼로 나눠주는 젠슨 황](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01.42237979.1.jpg)





![엄지성 이어 조규성·이한범도 포스텍 울렸다! 미트윌란, 노팅엄 원정서 3-2 승리…포스텍의 노팅엄, ‘패패무무패패’ 멸망 [유로파리그]](https://pimg.mk.co.kr/news/cms/202510/03/news-p.v1.20251003.f2964094c0e0447f84af28c5f48d0e9a_R.jpg)








 English (US)  ·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