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쎄쎄~” 지하철 칸마다 들리더니...범죄 저지른 외국인 2명중 1명은 중국인

7 hours ago 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한국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 수가 650만 명에 달하며, 연말까지 역대 최대치를 기록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중국인 관광객이 3명 중 1명을 차지하며, 9월 한 달 동안 52만 명 이상이 한국을 방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증가와 함께 중국인 범죄 비율이 외국인 범죄 중 47.5%를 차지하는 등 부작용도 발생하고 있어 우려를 낳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법무부 출입국본부 연보
관광비자 입국자 598만명
범죄 발생 등 부작용도 속출
중국인이 7년연속 범죄 1위

중국인들이 많이 찾는 명동.[사진=픽사베이

중국인들이 많이 찾는 명동.[사진=픽사베이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한국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이 650만명에 육박했다. 이 추세면 연말까지 역대 최대치를 넘을 가능성도 있다. 이 과정에서 기초질서 위반 등 외국인 범죄 비중도 급격히 늘어나는 등 부작용도 속출하고 있다.

8일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의 통계월보에 따르면 올해 1∼9월 관광통과(B-2) 비자를 받아 입국한 외국인은 649만1846명에 달했다. 전년 동기(551만9천648명)보다 17.6% 늘어난 숫자다.

월별 관광객 숫자도 호조다. 올해 1월 51만여명을 시작으로 매달 50만명대를 넘어서고 있다. 특히 여행 성수기인 7월과 9월 사이에는 입국자수 집계 이래 처음으로 3개월 연속 80만명대를 웃돈 것으로 조사됐다.

외국인 관광객은 2019년 715만여명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래 코로나19 영향으로 2020년 93만9000여명, 2021년 11만5000여명, 2022년 94만5000여명으로 내려앉았다. 엔데믹 이후인 2023년 512만여명으로 예년 수준을 회복한 뒤, 지난해엔 754만6000여명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2025년의 경우 9개월 만에 2024년 전체의 86% 수준에 달한 것과 최근 중국인 단체 여행객 대상 무비자 정책까지 시행된 것을 감안하면, 최대치를 갱신할 가능성도 충분 하다는 게 여행업계의 관측이다.

인바운드 호조의 1등 공신은 중국인 유커다.

법무부와 인천국제공항공사에 따르면 지난 9월 한달간 한국을 찾은 중국인은 52만5396명에 달한다. 전년 동월(45만1496명) 대비 16.4% 늘어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중국 국경절 연휴(10월1~8일) 기간 중국에서 인천공항을 통해 입국한 여객 전망치는 13만4661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30.5% 늘었다.

한국관광공사가 발표한 ‘한국관광통계’에 따르면 올 8월 가장 많은 방한객을 기록한 시장 역시 중국(60만5000명)이다. 외국인 방한 관광객 3명 중 1명은 중국인이었다. 1~8월 누적 방한객 1238만명 가운데 중국이 373만명으로 역시 1위다.

이 과정에서 부작용도 끊이지 않고 있다. 대표적인 게 범죄다. 범죄 발생 주요국 압도적 1위 역시 중국이다.

중국인에 의한 국내 범죄 발생율이 외국인 가운데 7년 연속 1위를 기록하고 있다. 경찰청에 따르면 2019년부터 금년 8월까지 발생한 외국인 범죄 23만6238건 가운데 중국 국적인 경우가 무려 11만2242건에 달했다. 국내 외국인 범죄 가운데 47.5%를 차지하는 규모다. 2건 가운데 1건은 중국인이 저지른 것으로 보면 된다는 의미다.

불법체류 문제 역시 삼각하다. 국적별 불법체류자는 올 8월 기준, 태국인이 11만7297명으로 50.9%를 차지했고, 이어 중국인이 4만3521명(18.9%)으로 뒤를 이었다. 중국인 불법체류자에 비해 태국인 불법체류자 비율은 두 배 이상 차지하고 있지만, 반면 국내 범죄 발생율은 중국인에 의한 경우가 월등히 높은 셈이다.

여행업계 한 관계자는 “지역별로 끊이지 않고 중국인 범죄 소식이 들린다”며 “혐중 시위까지 가세하면서 일촉즉발의 위험한 상황이 전개될 수도 있다”고 염려했다.

신익수 여행전문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